부산과 울산지역에 숨통을 틔울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이 오는 22일부터 시작된다. 이번에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에게 지급되며 지역상권 활성화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된다.
정부는 12일 2차 지급 계획을 발표하며 1인 가구 기준 연소득 7500만원 이하(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월 22만원 이하)를 지급 기준으로 설정했다. 가구원 수가 늘면 기준도 단계적으로 높아진다. 맞벌이 가구의 경우 가구원 수에 1명을 더해 산정한다.

현재 부산과 울산은 조선과 자동차, 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의 부진으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쿠폰이 단순한 현금 지원을 넘어 지역 소비 진작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부산 남구의 한 전통시장 상인은 "쿠폰은 금액이 크지 않더라도 실제 시장에서 쓰일 때 효과가 커진다"며 지역상권에서 돈이 돌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홍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울산 북구의 음식점 업주는 "코로나 이후 줄곧 매출이 부진했는데 이번에는 사용처를 더 넓히는 방식으로 체감 효과가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정부는 쿠폰 사용처를 기존 전통시장, 골목상권, 소상공인 가맹점 중심에서 온라인몰·프랜차이즈 일부 업종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한 지역사랑상품권과 연계해 소비가 대형마트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쿠폰은 신용·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해 받을 수 있으며, 9월 22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신청 가능하다.
한편 경재전문가들은 이번 지급이 단기적 소비 진작에 머물지 않고 장기적인 지역 경제 회복의 기폭제가 되려면 사용처 확대와 소비 유도 정책이 함께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 경제학자는 "쿠폰이 단순히 지급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소비를 구조적으로 활성화하는 촉매제가 돼야 한다"며 정책적 보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