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만금신공항 건설을 반대해 온 시민단체가 전북도의 항소 움직임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새만금신공항 백지화공동행동은 16일 오전 전북특별자치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만금신공항 취소 판결 이후에도 항소를 압박하는 전북도는 사기극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11일 서울행정법원이 새만금신공항 기본계획을 취소했음에도 전북도지사와 지역 정치권은 항소를 요구하며 판결을 폄훼하고 있다”며 “조류충돌 위험성이 무안공항보다 650배 높다는 지적에도 ‘보완하면 된다’는 식의 망언을 서슴치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군산공항이 이미 운영되고 있음에도 ‘전북은 공항이 없는 유일한 지역’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도민들의 소외감을 부추기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실제로 공항이 없는 곳은 충남이고 전북은 군산공항이 운영 중이고 군산공항 활용률은 0.8%로 전국 최하위”이라며 “하루 2~3편의 제주노선만 겨우 유지하며 연간 60억 원 적자를 보고 있는데 새 공항을 지으면 또 하나의 적자공항이 될 뿐”이라고 지적했다.
단체는 또 “국제공항이 있는 전남·강원·대구는 인구가 계속 줄었고 공항이 없는 충남은 같은 기간 오히려 30만 명 이상 늘었다”며 “공항 개항과 인구 증가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이어 “순천만습지는 2023년 7개월 동안 980만 명이 방문해 333억 원 수익을 냈고 생산유발효과가 1조5000억 원을 넘었다”며 “수라갯벌을 없애는 대신 보존과 복원을 통해 관광과 생태자원을 살리는 길이 전북경제의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관영 도지사는 도민을 기만하는 항소 압박을 중단하고 공개토론회에서 경제성의 근거를 밝히라”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