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순직해병 특검의 수사를 받고 있는 김용원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PC 교체를 통해 증거인멸을 시도했다는 의혹을 두고 "김 위원의 즉시 사퇴와 국가인권위원회 정상화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17일 오후 박규환 당 대변인 서면브리핑에서 "김 위원이 특검 출범 두 달여 전 사무실 PC를 교체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김 위원은 순직 해병 관련한 수사에 대비하여 미리 증거인멸을 시도했다는 국민적 의혹에 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현재 김 위원은 '박정훈 대령 긴급구제 기각' 사건과 관련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로 입건돼 있다"며 "PC 교체 사유를 '메인보드 불량'으로 주장하고 있지만 윤석열 탄핵 선고 이후 교체한 점으로 보아 증거인멸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국방부 검찰단의 수사자료 회수에 대해 비판 성명을 내더니,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뒤 '긴급구제 기각'으로 입장을 바꾼 것으로 알려져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며 "인권위 관계자들도 '외압 비판하던 김용원, 입장 돌변해 이상했다'고 특검에 증언했다고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피해자 인권 구제에 눈감은 김용원 위원은 인권위에 몸담을 자격이 없다"며 "국가인권위원회의 기능과 권위 회복을 위해 즉시 물러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민주당 서미화 의원실이 확보한 인권위 답변 자료에 따르면 김 위원은 해병대원 특검의 출범 두 달여 전인 지난 5월 2일 '메인보드 불량'을 이유로 자신의 PC를 교체했다고 전날 문화방송(MBC)이 단독 보도했다.
해당 시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로부터 탄핵을 선고받아 파면된 지 한 달 뒤로, 이후 7월 출범한 해병대원 특검은 김 위원이 위원장직을 맡고 있는 인권위 군인권소위와 관련해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 긴급구제 기각' 결정에서의 외압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김 위원은 고(故) 채 상병 순직 이후인 지난 2023년 8월 9일 국방부 검찰단의 채 상병 사건 수사 자료 회수 결정을 비판하는 성명을 냈지만, 그로부터 20일 후 군인권센터가 신청한 박 대령 긴급구제에 대해선 기각 결정을 내려 논란이 인 바 있다. 이후 김 위원이 긴급구제 신청이 접수된 당년 8월 14일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사실이 확인돼 긴급구제 기각에 대한 '외압' 의혹이 일었다.
해당 방송에서 서 의원은 "탄핵 이후 조기 대선이 가시화되던 시기에 PC를 교체한 건 명백한 증거인멸 정황"이라며 "특검은 조속히 김 위원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김 위원은 해당 방송에 "사용하던 컴퓨터에 기능 이상이 발생해 고쳐달라고 주문하는 일이 잦았고 담당 부서가 교체해준 것뿐"이라며 "그 안에 어떤 증거도 없는데 인멸을 한다는 것 자체가 헛소리"라고 반박 의견을 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