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완주군 A유치원 원장의 갑질 의혹이 불거지면서 전북교육청 감사관실이 진상 파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북지부와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교육청본부 전북교육청지부가 18일 성명을 내고 유치원 원장의 반복되는 갑질 문제에 대한 근본대책을 요구했다.
두 단체는 “지난 17일 완주 A유치원 관리자를 직장 내 갑질로 전북교육청 감사관실에 신고했다”며 “2021년 전주, 2023년 무주에 이어 이번에는 완주에서 또다시 문제가 불거졌다”고 밝혔다.
노조가 공개한 사례에 따르면 A유치원에서는 교사들이 계획한 수업조차 원장의 의중에 따라 수정해야 했고 작은 일에도 경위서를 작성하도록 강요받았다. 협의 과정에서 교사들의 의견은 배제됐으며 공개석상에서 모욕적 언사가 이어졌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로 인해 일부 교사는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달렸고 결국 한 기간제 교사는 사직을 택했다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
노조는 “행정직원도 예외는 아니었다. 청소 상태나 업무 처리 과정에서 사소한 문제를 빌미로 ‘업무 태만’ 지적이 반복됐고 징계를 운운하는 언급까지 있었다. 이미 승인된 연가가 취소돼 출근을 강요받는 사례도 있었다”며 “노조 활동마저 횟수 제한이나 회의 중 복귀 종용으로 제약을 줬고 결국 해당 직원은 의원면직까지 고민하는 상황에 몰렸다”고 전했다.
전교조 전북지부가 2020년 교원 대상 설문조사에서 단설유치원 근무를 기피한다는 응답이 80%에 달했으며 주요 이유로는 비민주적 운영, 부당한 지시, 인격 모독, 반말 사용 등이 꼽혔다. 교사 60%는 관리자에 의한 교권 침해 경험을, 75.7%는 정신적 고통을 호소했지만 보복 우려 때문에 대응하지 못했다는 결과도 있었다.
노조는 “완주 사례는 조사 결과가 현장에서 반복되는 현실임을 보여준다. 교직원이 안심하고 교육할 수 있는 환경과 민주적 운영을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며 “지난 7월 국회 토론회에서 논의된 교원지위법 개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A유치원 원장은 해당 의혹을 부인했다.
원장은 “연가 취소는 내가 지시한 일이 아니라 행정실장이 BF 점검 일정 때문에 담당자에게 말한 것”이라며 “나는 결재만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교사들에게 경위서를 반복 요구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A유치원 원장은 “신설 유치원 운영 과정에서 한 교사가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650만 원을 사용한 사례가 있었다”며 “그 경우에 한해 경위를 확인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수업권을 침해했다는 지적은 사실이 아니다. 공개수업에서 아이들과 상호작용이 잘되길 바란다는 제안만 했다”며 “노조 활동을 막은 것도 아니고 폭우로 시설이 마비돼 안전 때문에 복귀를 요청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