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에서 발생한 초대형 해킹 사고가 부산·울산 지역 상권에 직격탄이 되고 있다. 특히 최대주주 MBK파트너스가 인수 이후 보안 투자에 소홀했다는 비판이 커지면서 사모펀드식 비용 절감 경영이 지역경제를 위협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8일 금융당국 조사에 따르면 롯데카드 유출 데이터는 당초 신고치(1.7GB)의 약 100배에 달하는 최대 200GB로 추산됐다. 회원 960만명 중 약 297만명의 정보가 빠져나갔고 28만명은 실제 부정사용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과 울산의 소상공인들은 "카드 결제가 하루라도 막히면 매출이 무너진다"며 추석 대목을 앞두고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MBK는 앞서 홈플러스 인수 과정에서도 구조조정과 투자 축소로 지역 점포 축소·폐점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이번 롯데카드 사태 역시 단기 수익 극대화에 몰두한 나머지 전산망과 보안 인프라 투자에 소홀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금융당국조차 비용 절감을 통한 단기 실적에만 치중하고 보안 투자는 뒷전이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부산·울산지역에서는 "홈플러스에 이어 카드사까지 MBK식 경영이 피해를 낳는다"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해킹 공격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 기업의 보안 투자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고 지적한다. 지역 상권과 금융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정부가 감독체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MBK 같은 대주주에게도 사회적 책임을 묻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거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