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서울 서남권·경기 일부 지역을 넘어 서울 서초구·동작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에서도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무단 결제 피해가 당초 경찰 수사 범위인 경기 광명·부천·과천, 서울 금천·영등포, 인천 부평 일대보다 넓게 일어난 것이 확인되면서 전수조사가 요구되고 있지만, KT의 미온적 태도에 진상 규명이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증 시간 기준 소액결제 해킹 피해 지역은 당초 알려진 곳들 외에도 서울 동작구, 서초구, 고양시 일산동구가 포함돼 있다.
KT가 처음 피해가 발생한 시점으로 지목한 지난달 5일~8일 서울 동작구, 관악구, 영등포구 일대에서 15명이 26차례에 걸쳐 962만 원 피해를 봤다. 범행 주체들은 8일과 11일 이틀에 걸쳐 서울 서초구에서 3명을 상대로 모두 6차례에 걸쳐 227만 원의 소액결제 피해를 입혔다.
이들은 이후 12일∼13일 경기 광명시에서 범행을 저질렀고, 15일 서울 금천구, 20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21일 경기 과천시에서 무단 소액결제를 일으켰다. 같은 달 26일부터는 금천구, 광명시, 경기 부천시 소사구, 인천 부평구 등을 상대로 피해가 있었다.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처음 언론을 통해 알려진 지난 4일과 5일에도 100건에 가까운 무단 결제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파악됐다. 4일 피해 건수는 83건, 피해액은 2499만 원이며 5일에는 각각 14건·549만8000원 가량의 피해가 발생했다. 비정상적인 결제 시도 차단 직전까지 무단 소액결제가 상당 규모 진행된 것이다.

앞서 KT는 국회에 4일과 5일에는 피해 건수가 없었다고 보고하고, 1차 발표에서 피해자 수를 278명으로 집계했다가 4일과 5일 피해를 포함해 362명이라고 정정했다. 피해 건수도 1차 집계 당시 527건에서 764건으로 늘었다.
KT 피해 현황이 자꾸 확대되는 것은 자동응답전화(ARS)에 국한해 자의적이고 소극적인 대응을 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나온다. ARS 신호를 탈취해 소액결제에 성공한 사례에만 주목해 피해 현황을 ARS 수신 상황만 따져 집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패스(PASS) 인증 등에 대한 해킹이 이뤄졌다는 정황도 있어, KT가 사건을 축소하려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인다.
황 의원은 "KT 해킹 사태의 전모가 밝혀지면 밝혀질수록 KT가 거짓 변명만 늘어놓았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소액결제가 이뤄진 모든 고객에게 직접 결제 현황을 고지하고 피해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범행 지역과 시기에 대한 구체적 정보 등을 KT가 보다 빨리 공개했다면 수사에 도움이 됐을 사실들도 많은데 이제야 찔끔찔끔 주요 정보를 내놓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며 "고의적 축소 은폐 시도를 반복한 KT에 대해서는 SKT 때보다 더 강력한 제재와 함께 피해 배상 강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