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과 함께 매진된 영화 티켓을 빌미로 한 사기 행각이 기승을 부리면서 관람객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부산 해운대경찰서는 지난 17일 접수된 개막식 티켓 양도 사기 사건을 시작으로 관련수사에 착수했다고 22일 밝혔다. 현재 경찰은 피해자들이 입금한 계좌를 추적하고 있다.

피해 방식은 대체로 비슷해 BIFF 관련 오픈채팅방이나 포털사이트 게시판에서 매진된 인기 상영작 티켓을 양도한다며 접근한 뒤 웃돈을 요구하고 계좌이체를 받았다. 이후 상영 직전 예매 정보 전달을 약속하지만 연락이 끊기는 수법이다. 실제로 개막식 티켓 거래 과정에서 10만원을 잃었다는 사례까지 보고됐다.
문제는 이런 피해가 영화제 기간 내내 반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BIFF 티켓은 예매 정보만으로도 입장이 가능해 신분 확인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사기범들이 이를 악용하면서 관람객 피해가 확산되는 구조다.
이와 관련해 경찰은 "공식 예매처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개인 간 거래는 피하고 불가피하다면 반드시 직접 만나 실물 티켓을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문가들은 영화제 조직위의 제도 보완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티켓 실명제 강화, 양도 규정의 명확화, 암표 단속 강화 등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영화제 측이 사전 홍보 단계에서부터 "티켓 양도 사기주의"를 강조하고 피해자 구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부산과 울산을 비롯한 관람객들은 "세계적인 영화제라 기대했는데 사기 피해 이야기가 계속 들려 불안하다"며 "시민들의 신뢰가 무너져선 안 된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BIFF가 명실상부한 국제영화제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경찰 수사와 함께 조직위의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