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2호기의 수명 연장 여부가 조만간 결정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계속운전 승인' 여부를 심의하면서 이재명 정부의 원전 정책 방향을 가늠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해 3월 고리 2호기 계속 운전을 위해 운영변경허가를 신청했고 이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올해 7월까지 안전성심사를 진행했다. 법적 요건과 안전기준 충족 여부에 대한 검토 절차가 모두 마무리된 만큼 남은 것은 원안위의 최종 판단이다.
특히 고리 2호기는 한수원이 계속 운전을 신청한 10개 원전 가운데 첫 번째 심사 대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원안위가 수명 연장에 동의할 경우 한수원은 즉시 재가동 준비 절차에 들어가며 발전소는 2033년 4월까지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승인되지 않을 경우 다른 노후 원전의 향방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원자력 업계와 학계는 전력수요 증가 상황을 고려할 때 수명 연장 승인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반대로 환경단체와 탈핵 진영은 안전성 우려를 들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논란은 한층 거세질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원안위가 사회적 갈등을 고려해 '결정 보류'로 시간을 벌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