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두천시가 중장기발전종합계획을 통해 문화와 체육, 관광을 아우르는 종합 전략을 제시하며 ‘스토리텔링형 문화관광 도시’ 도약을 선언했다. 풍부한 자연 자원과 고유한 정체성을 기반으로 체류형 관광도시로 발전시키고, 시민의 문화 향유와 생활체육 기회를 확대해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목표다.
용역을 맡은 (재)한국자치경제연구원은 동두천시 문화관광 여건을 분석한 결과, 짧은 체류시간, 숙박·편의시설 부족, 문화·체육 인프라 취약 등을 주요 한계로 지적했다. 특히 소요산권은 전국적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체류형 콘텐츠 부족으로 재방문율이 낮고, 보산동 외국인 관광특구는 시설 노후화와 브랜드 약화로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왔다.
시민 2,20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테마관광지 개발(34.0%), 전문 체육시설 확충(32.8%), 문화예술 프로그램 확대(27.1%), 문화예술 공간 개선(26.9%) 등이 주요 요구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소요산 중심의 체류형 관광 인프라 확충을 핵심 과제로 제안했다. 반려동물 테마파크, 파크골프장, 소요내음공원 조성, 국제스케이트장 유치 및 빙상아카데미 설립 등이 포함됐으며, 계절별 체험·힐링 프로그램과 테마코스를 운영해 머무는 관광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방안도 담겼다.
또한 세 가지 추진 전략이 제시됐다.
1. 지역자산 연계 문화관광 강화: 보산동 외국인 관광특구 리모델링, 그래피티·공공미술 접목 거리 조성, 소리이음마당을 문화예술 거점으로 육성.
2. 생활밀착 체육·여가 인프라 확충: 맞춤형 스포츠클럽 운영, 전문지도자 양성, 주민 참여형 체육대회 및 신규 스포츠(러닝크루·뉴스포츠·파크골프) 확대.
3. 스마트 문화·관광 서비스 제공: 관광종합계획 수립, 시민참여형 축제 확대, 기업 연계 기념상품화, 다국어 안내체계와 통합예약·결제시스템 도입.
박형덕 동두천시장은 “문화와 체육은 시민이 일상에서 가장 먼저 체감하는 행복”이라며 “이번 중장기발전계획을 토대로 시민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체류형 문화관광 도시를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