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완주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에서 철거 작업 중 하청 노동자가 추락해 숨진 사고와 관련해 민주노총 전북본부가 “명절 앞두고 또 한 명의 노동자가 떨어져 죽었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5일 성명을 내고 “전근대적인 추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에 대해 분노가 끓어오른다. 고용노동부와 경찰이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지만 이번 사고는 철거업체가 임의로 개구부를 만들면서 안전장치를 설치하지 않아 발생한 인재가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대통령이 ‘예측 가능한 추락사고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에 가깝다’고 말하고 노동부 장관이 명함에 ‘떨어지면 죽는다’고 적어 다닌다지만 현장의 노동안전 불감증은 여전함을 이번 산재를 통해 확인했다”며 “이번 산업재해에 대해 정부와 현대차는 단호한 조치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 “현대차는 ‘하청업체 사고’라며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유족과 합의를 종용하지 말고 원청으로서 철저히 진상규명에 협조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고용노동부 역시 현대자동차(원청)에서 시작해 A업체(설비계약 하청)-B업체(철거부분 재하청)-C업체(덕트철거 재재하청)로 이어지는 복잡한 하청구조 속에서 덕트철거 공정만이 아니라 전체 철거작업에 대한 작업중지권을 발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명절을 앞두고 또 한 명의 노동자가 가족의 곁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노동자의 죽음 위에 이윤을 쌓는 사회는 정의롭지 않다”며 “이번 사고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3일 오후 9시 15분께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도장공장에서 상부 덕트 철거 작업을 하던 50대 하청 노동자가 5.6m 아래로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은 노동자가 바닥의 개구부를 밟다 추락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현대자동차 측은 “사고 원인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필요한 조치를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