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각종 이상으로 열흘 만에 운항을 중단한 '한강버스' 홍보에 4억 원 넘게 쓴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는 올해 한강버스 홍보 예산으로 4억1606만 원을 집행했다.
구체적으로, 한강버스 정식 운항과 관련 정보를 알리는 전광판 홍보영상·포스터·현수막·리플릿에 3750만 원을 썼다.
한강버스 취항을 알리는 광고에는 지면 1억4355만 원, 라디오 1억2700만 원을 사용했다.
한강버스 시범운항 체험 후기 등을 담은 유튜브 영상, 운항 정보에 관한 인스타그램 게시물, 카드뉴스, 모바일 콘텐츠, 온라인 커뮤니티 공지 등에는 1억801만 원을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8월 집행된 유튜브 시험운항 체험기 홍보영상 비용을 제외하면 광고비 대부분은 한강버스가 운항을 시작한 지난달 사용됐다.
그러나 지난달 18일 정식 운항을 시작한 한강버스가 열흘 만인 28일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전환하기로 하면서 광고비를 집행한 의미가 사라지게 됐다.
시는 방향타 고장, 전기 계통 이상 등으로 운항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다 10월 말까지 시민 탑승을 중단하고 시범 운항을 이어가기로 했는데, 이를 두고 9월 중 출항이란 목표에 맞추기 위해 충분한 준비 없이 운항을 무리하게 추진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는 홍보비에 대해 "한강버스를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로 보고 관련 정보를 시민들에게 알리는 차원에서 홍보비를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진성준 의원은 "열흘 만에 멈춘 오세훈 서울시장의 한강버스는 시민 안전을 외면한 보여주기식 행정의 결과"라며 "본인의 치적 과시가 시민의 안전과 혈세보다 우선될 수 없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