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4일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전주권이 대도시권처럼 국가지원을 폭 넓게 받을 수 있게 됐다.
전주-완주-익산-김제-군산-새만금에 이르는 전주권과 새만금까지 포함해 전북형 광역권 메가리전(Mega-region)시대를 개막하게 됐다. 150만 명 메가리전으로서 공항, 항만, 철도, 도로 등 교통인프라 구축과 신도시 조성, 주택문제 해결 등에 청신호가 켜졌다.
전북에서 메가리전시대의 개막은 전북에 둘러씌워진 삼중차별의 폐해를 극복하며 국가균형발전의 새 시대를 맞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희망의 빛을 보게 된다.
그동안 전북은 지역으로서 차별, 호남으로서 차별, 호남 내에서도 전북으로서 차별 등 삼중의 정치적 차별로 낙후의 늪에 빠져 있다. 이뿐만이 아니라 ‘비공항 지역, 비항만 지역, 비대도시권 지역’이라는 삼중의 구조적 차별을 받아왔다.
이번 변화는 그 질곡에서 벗어나 ‘전북권=중부 서해축의 신성장 거점’으로 재편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북형 메가리전은 더 이상 ‘비수도권 내에서도 소외된 비광역권’이 아니라, 중부권 남단의 핵심 광역생활권으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새만금공항, 새만금신항, 광역철도, 고속도로망 등은 단순한 지역 SOC가 아니라 이제 ‘국가 광역교통계획의 일환’으로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 국토균형발전계획, 제6차 국가철도망·도로망 계획 등에 전주권 사업을 반영할 근거를 강화한 것이다.
광역철도, 간선도로, 도시철도, 광역버스 등의 확충은 출퇴근권 확대, 교육·의료·문화 인프라 공유, 청년 인구 정착 유도로 이어진다. 수도권 의존형 구조에서 자급형 광역생활권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새만금(국제물류·에너지)–군산(제조·수출)–익산(산단·물류)–김제(농생명·농기계)-전주(행정·문화·AI)–완주(혁신도시·R&D)로 이어지는 ‘전북 내 메가리전 구조’는 전북 전체를 하나의 순환형 경제권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할 것이다.
전북 발전의 싱크탱크인 전북연구원은 이 같은 변화를 단순한 후속 조사기관이 아니라, 대도시권 진입 이후의 미래구조 설계자로 역할을 다시 정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정책과제를 제안한다.
첫째 「전주권 광역생활권 발전전략 마스터플랜」을 수립해야 한다. 광역교통망, 산업벨트, 신도시·정주공간, 환경·문화권을 통합하는 거시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국토부·균형위·KDI·LH 등과의 공동협의체를 구성해 국책사업으로 반영을 추진해야 한다. 핵심의제는 전주–익산–군산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건설, 전주KTX역 신설, 전주–혁신도시 간 고속화도로 건설 등이다. 특히 전주권의 도시간 연결을 위해 순환형 방사선 도로망 구축도 살펴야 한다.
전북연구원은 둘째 공항과 항만, 철도, 도로 등 4축 인프라를 메가리전의 산업벨트와 결합하는 모델을 구촉해야 할 것이다. 산업벨트는 AI·바이오·에너지·소재·문화콘텐츠 등을 첨단산업으로 혁신하는 새로운 혁명을 일으키도록 해야 한다. 즉 전주권 R&D 혁신도시기능을 새만금과 연결하는 내륙형 혁신허브를 지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메가리전 경제권의 일자리 창출과 인구 전략을 연구해야 한다. 청년층과 전문인력의 수도권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일자리 창출과 주거 안정대책 등을 연결하고 균형인구정책 시범권역도 제시하기를 바란다. 아울러 메가리전의 교통과 도시인프라를 국가사업과 연계하는 로드맵을 세워야 한다.
우리는 「대광법 시행령」개정으로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한 비수도권 대도시권 표준모델로 전주권 대도시권을 제시하기를 바란다.
단순히 교통정책을 확장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공간적 중심축을 전북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전북연구원은 지역연구기관에서 벗어나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싱크탱크이자 메가리전 전략기획본부로서 위상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전주권 대도시권 진입 대응 종합연구단」을 구성하고 중앙정부 등과 정책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를 바란다. 전북형 메가리전의 청사진은 전북 스스로 만들어 가야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