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전주 청년 1인 가구 절반 “공공임대 윈해요”…실제 입주율은 3% 그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전주 청년 1인 가구 절반 “공공임대 윈해요”…실제 입주율은 3% 그쳐

▲ⓒ전주시

전주 청년 1인 가구의 절반 이상이 공공임대주택 입주를 희망하지만 실제 입주율은 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시정연구원은 30일 ‘전주시 청년 1인 가구 주거 수요 분석 및 정책 제언’을 주제로 한 ‘JJRI 정책브리프 제10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2022년 전주시 주거실태조사’를 기반으로 18세에서 39세 청년층의 주거 환경을 분석하고 20명 청년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 결과를 반영했다.

조사 결과 전주시 청년 1인 가구 다수는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 있으며 특히 18세~29세 청년 96.2%, 30~39세 청년 87.7%가 임차 가구로 파악됐다.

월세를 내는 20대 44.8%, 30대 9.2%는 주거비 부담이 과도하다고 응답했다.

이들은 주거비뿐 아니라 공과금과 관리비 등 간접비용에서도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주거환경 개선과 더불어 실제 정책 수요와 지원 현실 간의 격차도 확인됐다.

공공임대주택 입주 희망 비율은 54.9%였지만 실제 입주율은 3.0%에 그쳤다.

또한 연구원은 단기임대주택에 대한 청년층 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으며 여성 청년층은 안전한 주거환경과 지역 정착을 돕는 ‘동네 안내서’ 등 정보 제공에 대한 수요도 확인했다.

또 이사비 지원·간단한 집수리·임대차 계약 지원 같은 실용적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택 금융교육과 지역 주거복지제도에 대한 정보 접근 욕구도 주거복지 프로그램 인지율은 14.5~25.3%로 낮았지만 필요성에 대한 응답은 47.3%에 달해 제도 홍보와 이용 편의성 강화가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

연구원은 분석을 바탕으로 유휴 공유재산을 활용한 청년주택 공급, 단기임대 확대, 주거 서비스 지원, 동네 안전 강화 등 11가지 정책 과제를 제안했다.

또한 정기적인 청년 주거 실태조사와 35세 이상 청년층을 포함한 지원 확대, 일자리와 연계된 주거복지 정책 추진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박미자 전주시정연구원장은 “이번 연구는 전주시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실태 및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앞으로 주거복지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주요한 계기가 됐다”며 “전주시가 청년층 주거 정책을 펼쳐가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JJRI 정책브리프 제10호’ 자세한 내용은 전주시정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하늘

전북취재본부 김하늘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