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참사로 인해 시민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이를 틈탄 '노쇼(예약부도) 사기'가 잇따르고 있어 경찰이 소상공인 피해 방지를 위한 긴급 대응에 나섰다.
10일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한 노쇼 사기 신고가 두 건 접수됐다. 사기범들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직후 긴급 납품이 필요하다며 지역 점포에 접근해 대금을 대신 송금해달라고 요구했다. 일부는 위조된 사원증을 제시하며 공신력을 가장했고 실제로 한 안전용품 판매점이 890만원을 송금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점포에는 비슷한 수법으로 도시락 100개를 주문했으나 안전장비를 급히 구매해야 한다는 연락이 들어왔다. 점주는 의심을 품고 경찰에 신고해 피해를 피할 수 있었지만 동일 수법이 이어지고 있어 추가 피해가 우려된다. 경찰은 공공기관 사칭 전화와 계좌이체 요청이 접수될 경우 즉시 112에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울산경찰청은 현재 피해 계좌와 통화내역을 추적 중이며 지역 지구대와 파출소를 중심으로 소상공인 대상 예방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해 대량 주문을 미끼로 입금을 유도하는 수법이 반복되고 있다며 실제 거래 전에는 반드시 기관 공식 연락처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건은 구조작업이 계속되는 울산화력발전소 붕괴사고의 혼란 속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의 충격이 크다. 경찰은 참사와 같은 재난 상황을 이용한 사기 범죄에 대해 엄정 대응 방침을 거듭 밝히며 소상공인 스스로도 대리결제나 선입금 요구에 대해 신중히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지난 6일 발생한 울산화력 5호기 보일러타워 붕괴사고로 현재까지 7명이 매몰돼 있으며 이 중 3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사망 추정자 2명과 실종자 2명은 여전히 매몰된 상태로 구조당국이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