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주 전북 김제시장이 광고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았다는 공익제보가 정치적 배후 논란으로 확산된 가운데 제보 대상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된 백창민 전 김제시의원이 자신은 이 사건과 무관하다고 호소하고 나섰다.
백 전 의원은 10일 오전 전북경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나는 이번 사건과 단 1%도 관련이 없다"고 관련성을 전면 부인했다.
경찰은 최근 정성주 김제시장이 옥외광고업체 대표 A씨로부터 총 8000만 원 상당 금품을 수수했다는 제보를 접수받고 수사에 착수한 바 있다.
금품은 2022년 12월과 2023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제보자인 B씨를 통해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B씨는 전직 김제시청 청원경찰 출신으로 경찰에 직접 고발한 인물이다.
이와 관련해 정 시장 측은 "금품 수수는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과정에 광고업체 대표 A씨는 경찰의 압수수색이 진행된 다음 날인 10월 14일 공익제보자 B씨와 백 전 의원, 나인권 전북도의원 등을 공직선거법 위반(허위 사실 공표 교사) 및 협박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A씨는 세 사람이 공익제보를 유도하거나 사건에 개입했다는 취지의 내용을 고소장에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백 전 의원은 지난 7일 경찰에 출석해 고소 내용에 대한 반박 진술을 마쳤으며 고소인과의 대질조사도 요청한 상태다.
하지만 이후 A씨는 일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B씨만 고소했고 나 도의원이나 백 전 의원은 고소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백 전 의원은 "정 시장이 압수수색 당일 이번 의혹이 내년 지방선거를 두고 정치적 목적으로 기획된 것이라며 배후설을 주장했고 이같은 주장이 보도된 지 하루만에 고소장이 접수됐다"며 "경찰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직 도의원과 전 시의원을 고소하는 상황은 사건의 본질을 흐리려는 물타기 시도가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고소인의 뜻이 아닌 특정 배후 인물에 의한 고소장 작성이 이뤄진 고발 사주가 아닌가하는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백 전 의원은 또 "해당 공익 제보로 경찰 조사와 언론 보도가 진행된 이후 김제지역 유력 정치인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인물이 'XX버리겠다, 밤길 조심하라'며 전화를 하고 문자메시지에는 간담이 서늘할 내용이 담겨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사건의 진실을 끝까지 밝히고 배후 세력이 드러날 경우 관용 없는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