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조직적으로 설립된 유령법인이 해외 피싱 조직의 자금세탁 창구로 이용된 사실이 드러났다.
11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A 씨(30대)를 포함한 20명은 2024년 11월부터 올해 7월까지 경남 창원 한 오피스텔에 합숙하며 70개의 유령법인을 설립하고 이들 명의로 97개의 법인 대포 계좌를 개설했다. 이후 이 계좌들이 캄보디아 현지 피싱 조직에 제공돼 약 3900억 원 규모의 범죄 자금이 오간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 해운대경찰서는 지난 6월 한 피싱 사건을 수사하던 중 이 법인 계좌들이 사용된 정황을 포착하고 6월 말부터 10월 말까지 조직원 17명을 차례로 검거했다. 경찰은 이들이 법인 명의를 악용해 금융기관 심사를 회피하고 계좌 한도를 높이기 위해 허위 세금계산서와 가짜 거래내역서를 제출한 것으로 파악했다. 계좌 명의를 제공한 이들에게는 매달 300만~500만원의 사례비가 지급됐다.
적발된 인원은 모두 한국인으로 20대 4명·30대 11명·40대 3명·60대 2명이다. 이들은 법인 설립부터 계좌 개설, 송금 및 관리까지 역할을 분담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 경찰은 범행에 이용된 계좌의 지급을 즉시 정지하고 해외로 도피한 총책·부총책·현지 조직원 등 3명에 대해서는 여권 무효화와 함께 인터폴 적색수배를 요청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전자금융사기를 넘어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설립된 법인이 해외 피싱 조직의 자금 루트로 활용된 점에서 파장이 크다. 경찰 관계자는 법인 명의 계좌를 통한 범죄가 조직적·지능화되고 있다며 금융기관과 공조를 강화해 대포계좌 공급망을 근절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