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강버스 사고와 관련해 뒤늦게 짧은 사과 입장을 밝혔다. 사고 발생 이틀째인 16일, 논란이 확산하는 상황에도 서울시는 대변인 차원의 입장문만 배포해 수습했다. 하지만 여당을 중심으로 오 시장이 직접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요구는 빗발쳤고, 오 시장은 사고 발생 뒤 약 18시간이 지난 시점에야 페이스북에 7줄짜리 입장문을 게재했다.
한강버스는 전날 저녁 8시 24분경, 잠실선착장 인근 수심이 얕은 곳을 지나다 강바닥에 걸려 멈췄다. 해당 사고에 서울시에서 이날 우선 나온 건 이민경 대변인 명의의 입장문이었다. 시는 "시민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다만 서울시는 "사고 발생 즉시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했다"며 "그 과정에서 모든 안전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단언했다.
서울시는 사고 당시 한강버스에 탑승한 승객 82명이 안전하게 잠실선착장으로 이송돼 귀가 조치된 점을 강조하며 "단 한 명의 부상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했다. 또한 토사 퇴적에 따라 항로 수심이 얕아진 데 따른 사고로 발생 원인을 추정하고, 만조 시간대에 이동 조치해 선박 정밀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강버스 안정성에 대한 여당의 비판에 서울시는 "안전 문제를 과장해 정치적 공세로 활용하고, 불필요하게 시민 불안을 가중해서는 안 된다"고 역으로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오세훈 시정실패 정상화 TF'와 민주당 서울시당 새서울준비특별위원회는 같은 날 기자회견을 열어 반복되는 한강버스 사고에 대한 오 시장의 직접 사과를 요구하고, "서울 시민의 생명을 건 한강버스 운항을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오 시장은 이날 낮까지도 한강버스 멈춤 사고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서울시 페이스북 등 시 공식 SNS 채널에는 '한강버스 숏폼 공모전'과 같은 한강버스 홍보 게시글만 올라왔을 뿐이다.
대신 오 시장은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잠재적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꼽히는 김민석 국무총리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 앞 세운4구역 '초고층 재개발' 논란에 대한 해명과 함께, 해당 재개발 사업에 비판적인 입장을 밝혀온 김 총리를 저격하는 글을 게시했다. 오 시장의 해당 글 속에 한강버스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오 시장은 "세운지구 사업은 단순히 고층빌딩을 짓는 재개발이 아니"라며 "나라와 도시의 발전을 이해하고 갈등을 조정해야 할 국무총리께서 특정 기관의 일방적인 입장에만 목소리를 보태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무총리께서는 무엇이 진정으로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미래를 향하는 길인지, 감성적 구호가 아니라 과학적인 근거를 기반으로 관계 기간들이 협의해 나갈 수 있도록 조정자 역할을 해달라"며 "조만간 국무총리를 직접 찾아뵙고, 서울시에 왜 더 많은 녹지가 필요한지 '녹지 생태 도심 마스터플랜'을 상세히 설명하겠다"고 했다.
한강버스 사고 관련 오 시장의 사과문이 나온 건 그로부터 5시간 30분이 흐른 이날 오후 2시 30분경이다. 오 시장은 "한강버스 멈춤 사고로 승객 여러분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드려 송구하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밝혔다.
다만 민주당의 운항 중단 등 요구에는 "안전 문제를 정치 공세의 도구로 삼는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한강버스가 시행착오들을 개선해 시민의 일상에 온전하게 정착할 때까지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거부했다.
한편 서울시 박진영 미래한강본부장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사고 원인과 관련 "조사 결과 항로 이탈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며 "항로를 철저히 신경 쓰고 있었기 때문에 운전자의 항로 이탈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참고자료에서 "직접적인 원인은 항로 이탈에 따른 저수심 구간 걸림이며, 간접적 원인은 저수심 구간 우측 항로 표시등 밝기 불충분으로 추정된다"며 "추후 해양안전심판원, 관할 경찰서, 행정안전부 등 관계기관의 추가 조사를 통해 정확한 사고원인이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