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50억 원을 들여 '세계 최초·32개국·2700명 참가'라고 홍보한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이 실제 참가 규모뿐 아니라 운영 방식과 예산, 특허 체계 등 여러 방면에서 허술함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25일 전주시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잇따라 나왔다.
먼저 김세혁 전주시의회의원은 "전주드론축구월드컵은 참가 규모 부풀리기, 국가대표 자격 검증 부재, 국제대회 명칭 사용 기준 실종 등 전 과정이 허술했다"고 지적했다.
전주시 홍보자료에서는 32개국 2700명 참가라고 강조했지만 실제 규모는 33개국 1600명에 그쳤으며 이 가운데 국내 참가자만 758명으로 절반에 가까웠다.
한·중·일 3개국 참가자가 1095명에 달했고 1~2명으로 구성된 시범팀까지 '참가국'으로 포함한 정황도 언급됐다.
김세혁 의원은 "전주시는 1100명 규모 차이를 알고도 2700명 참가라는 홍보를 강행했다"며 "행정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스스로 무너뜨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김 의원은 "국가대표전이라는 홍보 문구와 달리 각국 정식 대표 선발전은 없었고 상당수 국가는 동호회·클럽 단위로 팀을 꾸렸으며 일부는 대회 두 달 전에서야 훈련을 시작한 수정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드론축구는 IOC·CAS 승인 종목이 아니고 국제연맹(FIDA) 역시 초기 단계로 공식 랭킹·대륙 예선 체계도 존재하지 않는 만큼 '월드컵 명칭 사용'은 최소한의 기준과 절차부터 마련됐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세혁 의원은 "정식 승인 체계, 예선 시스템, 국가대표 선발 기준 같은 기본을 갖추지 않은 채 월드컵을 자처한 방식은 50억 원 혈세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며 "앞으로는 규모보다 신뢰·절차·기준 기반의 국제행사 운영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런 가운데 김성규 전주시의회 의원은 "세계드론축구연맹(FIDA) 회장이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행사용역비 36억 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며 "이는 사실상 전주시의 예산 집행을 정면으로 문제 삼은 것"이라고 질타했다.
이어 그는 "민간단체가 시 예산 집행을 두고 '의회 감사를 요청하겠다'고 공개 발언한 것 자체가 매우 비상정적'"이라며 "전주시는 드론협회를 고발하고 세계드론축구연맹은 시 집행부를 문제 삼는 등 서로 책임 공방이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업경쟁력·공공성에 대한 기본 원칙을 지금이라도 재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