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 일자리 실적이 '목표 초과 달성'으로 발표된 것과 달리 실제 효과가 낮다는 지적과 함께 전주푸드직매장의 반복 적자 운영 문제가 동시에 도마에 올랐다.
최명권 전주시의회 의원은 25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전주시가 올해 일자리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홍보했지만 실제 실적 대부분이 왜곡과 시장 공약과의 괴리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전주시는 2025년 지역일자리 공시제 계획에서 올해 목표치를 2만9080명으로 제시했으나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2만9561명으로 목표치를 초과했다.
그러나 최 의원은 "실적 초과 요인은 전주시가 창출한 일자리가 아니라 노인일자리 참여 원 증가(목표 1만6495명, 실적 1만7321명)"라며 "노인 일자리는 복지 목적의 재정사업이지 시장 공약에서 말한 '전주형 일자리 5만 개 창출'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 의원은 "최근 전주시 인구 유출의 70%가 청년층이다. 일자리 목표 달성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특히 청년층이 실제 전주에 정착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단기근로, 행사 인력, 민간 건설 현장 고용 등 전주시가 창출했다고 보기 어려운 사업이 모두 전주시 일자리 실적에 포함돼 있다"며 "실적 산정 기준을 명확히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런 가운데 최 의원은 전주푸드직매장이 매출 증가에도 적자가 줄지 않는 구조를 유지한 채 매년 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사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전주푸드직매장은 송천점과 효천점 두 곳으로 송천점은 연 임차료 6600만 원, 효천점은 약 43억 원을 들여 지어진 시 공유재산 건물에 위치했다.
2024년 매출은 송천점 37억5800만 원, 효천점 17억7300만 원이지만 운영비와 고정비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2023년 결산 기준 두 매장 합산 적자는 4억5822만 원에 달한다.
최 의원은 "고정비가 62%에 달하며 필수 비용도 줄이기 어려워 매출 증가와 관계없이 적자가 반복되는 구조"라며 "운영비 대부분을 시비 출연금으로 충당하는 반식은 농민 지원 효과에 비해 과도한 재정 투입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누적 적자 구조가 지속되는 만큼 현행 운영 방식을 전면 재검토하고 농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원 체계로 개편할 것"을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