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 공약사업으로 추진됐던 '덕진권역 거점형 대형놀이터'가 처음부터 부지 선정이 잘못되면서 결국 사업이 멈췄고이미 투입된 설계 용역비 1억7000만 원은 회수도 못한 채 사라졌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시는 당초 우아동 지방정원 부지에 대형놀이터를 조성하려고 했지만 했지만 사업이 상당 부분 진행된 후에야 해당 부지가 경사지라 시설 배치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했고 부지를 송천동 어린이창의체험관 인근으로 변경했을 때는 이미 실시설계 용역비 2억 원 중 1억7000만 원이 집행된 후였다.
이와 관련해 이남숙 전주시의회 의원은 26일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 "거점형 대형놀이터 덕진권역 사업은 최초 부지 선정 때부터 문제를 제기했지만 행정이 밀어붙였고 1년 넘는 시간이 흐르면서 용역비만 사라졌다"며 "사전 검토 없이 무리하게 추진한 행정의 실패"라고 말했다.
아울러 온혜정 의원은 "부지가 경사지인지 확인하는 건 사업지 선정 과정에서 가장 먼저 고려했어야할 사안"이라며 "기초 조사만 제대로 했어도 막을 수 있는 대표적 예산 낭비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문제에도 전주시가 내년 본예산에 새로운 부지 설계용역비 4000만 원을 다시 편성하고 같은 사업임에도 올해 예산과 내년 예산 규모에서 5배 차이 나는 이유가 명확히 설명되지 않아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이에 온 의원은"부지만 바뀐 동일 사업을 추진하면서 예산 규모가 이렇게 달라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기존·신규 용역비의 적정성이 모두 의문"이라며 "분명한 책임 규명과 사업 검토 체계를 개선해야 할 것"을 요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