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그럼, 난 주부인걸!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그럼, 난 주부인걸!

[스크린 일본어] 도쿄타워 4

요즘은 영화를 보면서 언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영화가 그 나라의 문화를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데다 가장 손쉽게 외국의 문화와 접할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일본 문화가 개방된 후 그동안 금지되었던 일본 문화를 총체적으로 담고 있는 일본영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졌다. 프레시안무비에서는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에게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한꺼번에 접할 수 있는 <스크린 일본어> 코너를 신설했다. 일본영화 자막번역가 안영수가 진행하는 <스크린 일본어>는 최신 일본영화를 선정해 일본어 표현법을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영화의 배경이 되는 일본문화와 일본어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스크린 일본어>에서 다룰 첫번째 영화는 에쿠니 가오리 원작의 <도쿄타워>다. - 편집자
<도쿄타워>는 어떤 영화? 베스트셀러 소설 <냉정과 열정사이>의 작가 에쿠니 가오리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다. 스물 한 살의 의대생 코지마 토오루(오카다 준이치)는 스무살 연상의 엄마 친구 시후미(구로키 히토미)와 사랑에 빠졌다. 3년째 사랑을 나누고 있는 두 사람. 토오루는 자신의 일상을 통째로 시후미에게 맞춰놓고 산다. 그러나 부자 남편과 화목한 결혼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시후미는 토오루와의 사랑이 조심스럽다. 또 하나의 커플, 토오루의 친구 오하라 코지(마츠모토 준)은 결혼생활에 염증을 느낀 35세의 주부 가와노 키미코(테라지마 시노부)와 연애를 시작한다. 그동안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지 못했던 키미코는 코지를 만나 대담하게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고, 재미삼아 연애를 시작한 코지는 키미로의 변화에 당황한다. 2005년 도쿄국제영화제 특별초대작이었던 <대정전의 밤에>를 감독한 미나모토 타카시의 데뷔작이기도 한 <도쿄타워>는 <홀드 업 다운>의 꽃미남 오카다 준이치와 <실락원>의 구로키 히토미, <바이브레이터>의 연기파 배우 테라지마 시노부, <꽃보다 남자>의 마츠모토 준이 펼치는 연상 연하 커플의 솔직 담백하면서 흡인력 강한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 ■ 단어 & 표현 - 積もる(つもる,츠모루) : 쌓이다 - 夕飯(ゆうはん,유-항) : 저녁식사 . ■ 일본어 익히기 - から의 두 가지 쓰임. 1) ~에서, ~부터 어떤 사건이나 지점의 시작을 나타낸다. 종료 지점을 나타내는 まで와 함께 쓰이는 경우도 많다.
2) ~때문에 이유와 사정을 설명할 때 사용한다. 주관적인 의견을 피력하는 뉘앙스가 있고,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느낌을 줄 때가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잘못의 이유를 설명할 때에는 ので를 주로 사용한다.
- 人身事故는 지하철이나 전철에 사람이 뛰어들거나 하여 생기는 사고를 말하며 일본에서 차량운행지연을 설명할 때 자주 볼 수 있는 단어이다. 윗 문장은 から를 사용하여 '사고'에 비중을 두어서 자신이 늦은 것을 당연하다고 이야기하는 느낌이고, 아랫 문장은 ので를 사용하여 본인이 늦은 이유를 객관적으로 설명하여 약간의 미안한 느낌을 전달한다. .
키미코는 권위주의적인 남편과 시어머니 사이에서 존재감을 상실한 전형적인 전업주부이다. <도쿄타워>에서 관심 있게 바라보고 싶은 대상이 '주부'이고, 언젠가 '욘사마 신드롬'과 일본 주부의 문화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다루겠지만 이번엔 또 다른 전업주부를 간단히 소개한다. 業主婦 VS 業主夫 (발음은 두 단어 모두 せんぎょうしゅふ 센교-슈후) 얼마 전에 <불량주부>라는 TV 드라마가 인기리에 방송되었다. 하지만 방영 초기에는 2004년 일본에서 방영한 <アット.ホ-ム.ダッド At Home Dad>와 설정이 비슷하여 표절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그럼 <アット.ホ-ム.ダッド At Home Dad>는 무슨 드라마일까? 이 드라마는 일류 광고회사에 다니던 카즈유키(아베 히로시 분)가 갑자기 회사를 그만두게 되어 가사 일을 맡게 되고, 대신 그의 아내 미키(시노하라 료코 분)가 잡지사 일을 하게 되면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를 담았다.
고용의 불안정과 기업의 인원감축으로 일자리를 잃은 남성들이 늘어나는 반면, 재능을 인정받은 여성들은 그들의 커리어를 십분 누리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오래 전부터 나타난 현상이다. 業主夫는 가정에서 부인을 대신해서 가사일을 도맡아 하는 남성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業主婦와 같은 발음으로 인해 생긴 신조어이다. 다른 뭔가를 꿈꾸다가도 저녁식사 준비를 위해 돌아가야 할 주부(主夫)가 어디엔가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끔 나도 꿈꾼다. "業主夫였으면…" 하고^^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