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영화를 보면서 언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영화가 그 나라의 문화를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데다 가장 손쉽게 외국의 문화와 접할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일본 문화가 개방된 후 그동안 금지되었던 일본 문화를 총체적으로 담고 있는 일본영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졌다. 프레시안무비에서는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에게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한꺼번에 접할 수 있는 <스크린 일본어> 코너를 신설했다. 일본영화 자막번역가 안영수가 진행하는 <스크린 일본어>는 최신 일본영화를 선정해 일본어 표현법을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영화의 배경이 되는 일본문화와 일본어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스크린 일본어>에서 다룰 첫번째 영화는 에쿠니 가오리 원작의 <도쿄타워>다.
- 편집자 <도쿄타워>는 어떤 영화? 베스트셀러 소설 <냉정과 열정사이>의 작가 에쿠니 가오리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다. 스물 한 살의 의대생 코지마 토오루(오카다 준이치)는 스무살 연상의 엄마 친구 시후미(구로키 히토미)와 사랑에 빠졌다. 3년째 사랑을 나누고 있는 두 사람. 토오루는 자신의 일상을 통째로 시후미에게 맞춰놓고 산다. 그러나 부자 남편과 화목한 결혼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시후미는 토오루와의 사랑이 조심스럽다. 또 하나의 커플, 토오루의 친구 오하라 코지(마츠모토 준)은 결혼생활에 염증을 느낀 35세의 주부 가와노 키미코(테라지마 시노부)와 연애를 시작한다. 그동안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지 못했던 키미코는 코지를 만나 대담하게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고, 재미삼아 연애를 시작한 코지는 키미로의 변화에 당황한다. 2005년 도쿄국제영화제 특별초대작이었던 <대정전의 밤에>를 감독한 미나모토 타카시의 데뷔작이기도 한 <도쿄타워>는 <홀드 업 다운>의 꽃미남 오카다 준이치와 <실락원>의 구로키 히토미, <바이브레이터>의 연기파 배우 테라지마 시노부, <꽃보다 남자>의 마츠모토 준이 펼치는 연상 연하 커플의 솔직 담백하면서 흡인력 강한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
. ■ 단어 & 표현 - 電話に出る(でんわにでる,뎅와니데루) 전화를 받다
- 電話をかける(でんわをかける,뎅와오카케루) 전화를 걸다
- 欲しい(ほしい,호시이) 바라다, 원하다
- 最低(さいてい,사이테-) 최악, 저질, 최저
. ■ 일본어 익히기 강한 금지를 나타낼 때는 ダメ(다메)를 사용한다. 일본은 전통적으로 타인에게 폐 끼치는 것을 싫어하는 문화이고, 어렸을 적부터 이런 교육을 가정과 학교에서 귀에 못이 박히도록 실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의 지하철이나 공공장소에서 엄마들이 아이에게 가장 많이 하는 말 중에 하나가 "~ちゃん、ダメ!(~쨩, 다메!/~야, 안돼!)" 이다. ダメ는 간단 명료한 직설적인 부정표현이며, 그 외에 いけません(이케마셍/안됩니다", 반말로는 いけない/이케나이), 止めてください(やめてください/야메떼쿠다사이/하지 말아 주세요)등이 있다.
. 
남자와 여자는 서로 만나서 사랑을 한다. 하지만 사랑은 키미코와 키미코의 남편 사이의 떳떳한(?) 사랑이 있고, 코지와 키미코 사이의 은밀한 사랑이 있다. 오늘은 사랑하는 상대(?)에 따른 에피소드를 소개한다. 초급 일본어를 뗀 박모군은 일본으로 어학연수를 갔다. 어느 날 일본인 선생과 함께 지하철을 탈 일이 생겼는데, 자연스레 대화를 나누기 위해 교생이 부임하면 꼭 한다던 그 질문-사전으로 미리 찾아 둔-을 하였다.
순간 지하철 안은 차가운 긴장감이 돌기 시작한다. 선생의 얼굴은 갑자기 빨개지고, 주변사람들은 계속 힐긋 힐긋 쳐다보는데.... 일본어로 아이징(愛人)은 불륜의 상대를 의미하며, 애첩 등의 의미로 쓰인다. 그러므로, 선생님이 화들짝 놀라며 당황하는 것은 당연한 일…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애인은 일본어로 코이비또(

人)이라고 해야 한다. * 애인이 있는 지를 물을 땐, 이렇게.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