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응, 절대 용서 안 해!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응, 절대 용서 안 해!

[스크린일본어] 도쿄타워 7회

요즘은 영화를 보면서 언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영화가 그 나라의 문화를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데다 가장 손쉽게 외국의 문화와 접할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일본 문화가 개방된 후 그동안 금지되었던 일본 문화를 총체적으로 담고 있는 일본영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졌다. 프레시안무비에서는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에게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한꺼번에 접할 수 있는 <스크린 일본어> 코너를 신설했다. 일본영화 자막번역가 안영수가 진행하는 <스크린 일본어>는 최신 일본영화를 선정해 일본어 표현법을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영화의 배경이 되는 일본문화와 일본어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스크린 일본어>에서 다룰 첫번째 영화는 에쿠니 가오리 원작의 <도쿄타워>다. - 편집자
<도쿄타워>는 어떤 영화? 베스트셀러 소설 <냉정과 열정사이>의 작가 에쿠니 가오리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다. 스물 한 살의 의대생 코지마 토오루(오카다 준이치)는 스무살 연상의 엄마 친구 시후미(구로키 히토미)와 사랑에 빠졌다. 3년째 사랑을 나누고 있는 두 사람. 토오루는 자신의 일상을 통째로 시후미에게 맞춰놓고 산다. 그러나 부자 남편과 화목한 결혼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시후미는 토오루와의 사랑이 조심스럽다. 또 하나의 커플, 토오루의 친구 오하라 코지(마츠모토 준)은 결혼생활에 염증을 느낀 35세의 주부 가와노 키미코(테라지마 시노부)와 연애를 시작한다. 그동안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지 못했던 키미코는 코지를 만나 대담하게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고, 재미삼아 연애를 시작한 코지는 키미로의 변화에 당황한다. 2005년 도쿄국제영화제 특별초대작이었던 <대정전의 밤에>를 감독한 미나모토 타카시의 데뷔작이기도 한 <도쿄타워>는 <홀드 업 다운>의 꽃미남 오카다 준이치와 <실락원>의 구로키 히토미, <바이브레이터>의 연기파 배우 테라지마 시노부, <꽃보다 남자>의 마츠모토 준이 펼치는 연상 연하 커플의 솔직 담백하면서 흡인력 강한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 ■ 단어 & 표현 - 怒る(おこる/오코루) 화를 내다 - 許す(ゆるす/유루스) 용서하다 - 危ない(あぶない/아부나이) 위험하다 - 人妻(ひとづま/히토즈마) 부인, 유부녀 - 近づく(ちかづく/치카즈쿠) 다가서다. 가까이 하다 - 冗談(じょうだん/죠-단) 농담 . ■ 일본어 익히기 키미코의 이별 방법은 과격하지만 깔끔하다. 남편에게 사랑 받지 못해 시작한 아름다운 불장난이 끝은 비장하기만 하다. 헤어질 때는 아름답게 헤어져야 한다. 헤어짐의 인사말을 배워보자. 역시 흔히 알고 있는 작별 인사는 さようなら(사요나라, 혹은 さよなら)이다. さようなら는 일반적이긴 하지만 다시 못 볼 사이에 주로 사용하는 영영 이별의 인사이기도 하다. 어떨 때 잘못 사용하면, 그 사람을 영원히 못 볼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친한 사이에는 주로 영어의 Byebye에서 나온 バイバイ(바이바이) 또는 간단하게 またね(마따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またね는 また 明日(また あした/마타 아시타/내일), 週(らいしゅう/라이슈/다음 주에), 週末に。(しゅうまつに。/슈마츠니/주말에 보자)의 축약형 표현이다. 비슷한 말로는 じゃ、ねえ(쟈 네-)가 있는데, では、また ってね。(では、また あってね。/데와, 마따 앗테네/그럼, 내일 봐)의 축약형으로 친구사이에서 부담없이 가장 많이 사용한다.
. 일본의 교통 문화 - 1 가끔 거리를 거닐다 보면 렉서스를 비롯한 혼다, 도요타 등의 멋진 일제 승용차를 보게 된다. 우리나라의 차량기술이 거의 일본을 따라 잡았지만, 그래도 왠지 멋진 차를 타고 다닐 일본인들이 부럽다,라고 생각하면… 실제 일본은 또 다르다. 일본의 주 교통수단은 전철과 자전거이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승용차는 가지고 있지만, 출퇴근은 전철을 이용한다. 그리고 전철을 이용하기 위해 집에서 역까지 자전거를 이용한다. 자전거 불법주차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필자는 도쿄에서 아침에 전철 시간에 늦어 공영 주륜장(요금 1일 백엔)에 자전거를 주차 못하고 역 앞에 주차했다가 견인을 당하여, 오천엔 가까운 벌칙금을 물었다. 그래서 일본의 전철역 부근에는 공영 또는 사설 주륜장이 많다. 그럼 왜 일본인은 차로 출퇴근을 하지 않는 것일까? 주차요금때문이다. 일본도 땅이 협소해 맨션 등에 주차장이 있는 곳이 별로 없어 외부 유료주차장을 이용해야 하는데, 한달 주차료가 4-5만엔 정도이다. 우리나라 돈으로 50만원 정도인데 집과 회사 양쪽에 주차장을 마련하면 100만원이 되기 때문에 그 돈을 감당할 사람은 몇 명 되지 않는다. 그래서 대부분이 사람들이 콩시루처럼 꽉꽉 들어찬 전철이나 지하철을 이용하여 출근한다. 섬나라의 규칙인지는 모르지만, 영국과 같이 일본도 차량통행은 좌측이다. 이 때문에 한국사람들은 일본에서 운전할 때 주로 좌회전과 우회전을 하면서 실수를 많이 하게 된다. 몇 년 전 모 방송국에서 정지선 지키기로 일본의 뛰어난 교통질서 수준을 칭찬한 바와 같이 일본은 길은 막혀도 끼어들기와 같은 얌체 운전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며 운전할 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물론 보행자는 좀 문제가 있는 것 같지만… 이는 다음에 다시 이야기할 것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