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영화를 보면서 언어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영화가 그 나라의 문화를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데다 가장 손쉽게 외국의 문화와 접할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이다. 일본 문화가 개방된 후 그동안 금지되었던 일본 문화를 총체적으로 담고 있는 일본영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졌다. 프레시안무비에서는 일본어와 일본문화에 관심이 많은 독자들에게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한꺼번에 접할 수 있는 <스크린 일본어> 코너를 신설했다. 일본영화 자막번역가 안영수가 진행하는 <스크린 일본어>는 최신 일본영화를 선정해 일본어 표현법을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영화의 배경이 되는 일본문화와 일본어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스크린 일본어>에서 다룰 첫번째 영화는 에쿠니 가오리 원작의 <도쿄타워>다.
- 편집자 <도쿄타워>는 어떤 영화? 베스트셀러 소설 <냉정과 열정사이>의 작가 에쿠니 가오리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다. 스물 한 살의 의대생 코지마 토오루(오카다 준이치)는 스무살 연상의 엄마 친구 시후미(구로키 히토미)와 사랑에 빠졌다. 3년째 사랑을 나누고 있는 두 사람. 토오루는 자신의 일상을 통째로 시후미에게 맞춰놓고 산다. 그러나 부자 남편과 화목한 결혼 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시후미는 토오루와의 사랑이 조심스럽다. 또 하나의 커플, 토오루의 친구 오하라 코지(마츠모토 준)은 결혼생활에 염증을 느낀 35세의 주부 가와노 키미코(테라지마 시노부)와 연애를 시작한다. 그동안 자신의 욕망에 충실하지 못했던 키미코는 코지를 만나 대담하게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고, 재미삼아 연애를 시작한 코지는 키미로의 변화에 당황한다. 2005년 도쿄국제영화제 특별초대작이었던 <대정전의 밤에>를 감독한 미나모토 타카시의 데뷔작이기도 한 <도쿄타워>는 <홀드 업 다운>의 꽃미남 오카다 준이치와 <실락원>의 구로키 히토미, <바이브레이터>의 연기파 배우 테라지마 시노부, <꽃보다 남자>의 마츠모토 준이 펼치는 연상 연하 커플의 솔직 담백하면서 흡인력 강한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
. ■ 단어 & 표현 -
場所(ばしょ/바쇼) 장소 -
隣(となり/토나리) 옆, 이웃 -
持(きもち/기모치) 기분
. ■ 일본어 익히기 드디어 <도쿄타워>가 끝이 났다. 8주간의 첫 연재가 어떤 도움이 되었을지는 모르겠지만, 나중에 어디선가 들어봤단 기억만 난다면 그걸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오늘은 두 종류의 형용사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본다. 일본어의 형용사에는 い(이)형용사와 な(나)형용사가 있다. 보통 い형용사를 그냥 '형용사', な형용사를 '형용동사'라고 부른다. い형용사는 한국어의 '~다'로 끝나는 경우로 あおい(아오이/파랗다)、たかい(타카이/높다)、おいしい(오이시-/맛있다) 등이 있다. い로 끝나는 원형을 가지며, 활용도 い를 바탕으로 한다. 흔히 사용하는 いい(이이/좋다), ない(나이/아니다) 역시 い형용사이다. な형용사는 '~하다'로 끝나는 경우로 すきだ(스키다/좋아한다)、じょうずだ(죠-즈다/잘한다)、しずかだ(시즈카다/조용하다) 등이 있다. だ로 끝나는 원형을 가지며, 활용은 な로 한다. 활용과 문장에서의 응용은 다음 영화에서부터 본격적으로 다룬다.
. 도쿄타워의 주제가는 야마시타 타츠로가 부른 "Forever Mine"이다. 가수 山下達

(やましたたつろう/야마시타 타츠로)는 1953년 생으로 1976년에 "Circus Town"으로 데뷔했다. "Forever Mine"은 영화 <도쿄타워>에서 보여주는 안타까움과 간절한 사랑이 잔잔하게 잘 묻어난 곡이다.
. 도쿄타워의 마지막 연재를 마무리하며 이 노래의 몇 소절을 소개한다.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