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넘게 끌어 온 기륭전자 여성 노동자들의 '정규직화' 요구가 단식 60일을 훌쩍 넘기도록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 14일 밤, 극적 타결이 점쳐지던 기륭전자 노사 교섭을 끝내 결렬됐다. 그리고 16일, 단식 중이던 2명의 여성 노동자는 병원으로 향했다. 그러면서도 이들은 "단식을 풀지는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리고 두 여성 노동자들이 119 구조대에 의해 실려 내려 와야 했던, 그 기륭전자 정문 옥상 농성장은 지금 다른 이들이 지키고 있다. 바로 인터넷 까페 '기륭전자 릴레이 동조 단식단' 회원들이었다. 이들은 지난 100일 동안 이어 진 촛불 시위를 통해 더욱 활발하게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오가 며 움직이는 네티즌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시민이었다.
지난 8월 6일 시작된 '기륭전자 릴레이 동조 단식단'에는 17일까지 120여 명이 넘게 참가했다. 한 네티즌은 아이를 데리고 단식장을 찾았다. 누구는 직장이 끝난 이후 퇴근 길에 농성장을 찾아 밤새 농성장을 지킨 뒤 이튿날 아침 다시 출근길에 오르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서울 구로구 가산동 기륭전자 앞의 농성장을 찾아 1박 2일로 24시간 단식에 참여하는 것이었지만, 어떤 이는 집에서 혼자 단식에 동참했다.
단식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지지 방문을 하거나 문화제에 참여하는 네티즌도 많았다. 과연 이 시민들은 뜨거운 뙤약 볕 아래, 혹은 각자의 일터에서 동조 단식에 참여하며 무엇을 느꼈을까. 정작 당사자인 두 여성 노동자가 병원으로 실려 간 이후에도 이들이 "우리가 단식 농성장을 지키겠다"고 나서는 까닭은 무엇일까?
<프레시안>은 그들이 하루 단식 참여 후 올린 후기들을 몇 차례에 걸쳐 연재한다. 이 후기들을 통해 비정규직 850만 시대에도 여전히 사회로부터 언론으로부터 소외 받는 비정규직의 고통을, 일반 시민들이 다시금 깨닫고 인지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편집자>
기륭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만나러 간다. 일곱 시 촛불 문화제에 맞춰 길을 나섰다. 지난 토요일 비상 문자를 받고서 간 후 두 번째다. 처음보다는 더 익숙하게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하차해 2번 출구로 나가 출구 앞 3번 버스를 탔다. 자연스럽게 마리오, 벽산, 에스에스 정류장을 지나 충남슈퍼앞이다. 슈퍼앞에서 쳐다보니 만장이 펄럭이고 있다.
붉은 천, 노란 천 그리고 흰색에 간혹 푸르거나 검은 글자가 플랭카드에서 잘린 모습 그대로 인쇄된 천들이 바람에 나부낀다. 그곳이 바로 1077일 농성하고도 모자라 55일이나 단식을 하고 있는 기륭 노동자들의 마지막 투쟁 장소이다. 정면에 보이는 컨테이너 박스와 농성 천막 그리고 그 사이의 꽉 막힌 기륭전자 철문이 사람키 두 길도 넘게 꽉 막힌채 닫혀 있다. 협상을 거부하고, 구사대를 동원해 농성하는 노동자들을 쫓아내는 기륭전자 사장의 모습이 투영된다.
산능선을 따라 해발 오천 미터도 넘는 고갯길위에 나무를 세우고 천들을 가늘게 찢어 매달아 놓은 히말라야의 사진을 기억한다. 한치만 잘못 디뎌도 삶과 죽음이 갈릴 그 절정에서, 더 이상 오르지 못할 티벳인들이 보내는 절규와도 같던 만장이 떠오른다. 높고 험한 산행의 안녕을 비는 마음이야, 바닷가 작은 섬 서낭당에 매달린 채 풍어와 안녕을 비는 마음과 다르지 않고, 목숨을 내걸고 단식을 하는 기륭 전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마지막 호소와도 다르지 않다.
비정규직 철폐하고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기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의지와 투쟁은 이제 마지막 절정에 이르고 있다. 저 눈 덮인 높은 산의 능선처럼 한치만 잘못 디뎌도 생과 사가 갈리는 위기의 순간이다. 농성장 앞에 매달린 만장은 바로, 기륭 노동자들이 부디 안녕하기를, 그리고 반드시 비정규직 투쟁을 승리하기를 바라는 기도이다.
경찰의 침탈에 대비해 기륭 전자 수위실 위에 만든 또 다른 천막 농성장에는 검은 관이 놓여 있다. 죽음은 기륭 노동자들의 바로 앞에 있다. 검은 관을 외면할 것인가? 결코, 나는 눈을 뗄수 없었다.
촛불 문화제는 김성만님의 노래 공연을 시작으로 국회의사당에서 잡혀서 금천경찰서에 이박 삼일간 잡혀있다가 나온 박래군 인권사랑방 대표님의 연설 그리고 학생들의 문화 선전까지 이어졌다. 민주 노동당 이정희 의원과 이영희 중앙위원 그리고 서울시당 위원장이 동조 단식을 시작했다.
기나긴 싸움 속에서 충격과 피곤함이 점점 기륭노동자들을 지치게 하고 있었다. 수많은 밤들이 그들을 더 외롭게 만들었다. 하루 혹은 하룻밤이라도 같이 싸우자고, 요사님과 마음을 모았다.
줄에 매달린 만장이 흔들린다. 가벼운 바람에도 펄럭거린다. 그 작은 바람에도 흔들리는 천들은 약하다. 연약하다. 그 약한 천이 하나 둘 셋, 아니 수십 수백 수천 개에 이를 듯한 그것들이 동시에 흔들린다. 수천의 천 조각들이 바람을 가리키고 있다.
기륭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만장이었다. 가파른 절정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가리키고 있었다. 무엇이 삶이고 무엇이 죽음인가. 무엇이 산 것이고 무엇이 죽은 것인가. 무의식적으로 움직이는 내장마저도 연동운동을 그친 오십오일간의 단식속에 기륭 노동자들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보여주고 있었다.
촛불 문화제가 끝날 즈음 달푸님이 오셨다. 바쁘게 사진을 찍다가 물어보신다. 농성 컨테이너 박스 앞의 조각들은 어떤 것이냐고. 청동으로 만들어진 머리 조각 둘의 입 사이에 긴 나무의자가 놓인 형상이다. 두 번 와봤지만, 눈여겨 보지 않았던 것이다. 급히 기륭 노동자분에게 물었다.
"미술 운동하시는 분이 직접 만들어서 기증하신 것이다. 기륭 투쟁이 끝나고 나면 가져가시겠다고 했다."
조각을 살피니 조각가의 이름이 보인다. 구본주. 함께 나누는 비스켙, 이란 작품이었다. 그제야 청동으로 만든 두상들이 하나는 살찌고 여유있는 모습이며, 또 하나는 마르고 마치 죽순처럼 솟구친 형상이었다. 노동자와 자본가, 그리고 노동의 성과를 나누어야 한다는 의지를 볼 수 있었다.
달푸님이 묻기전에는, 기륭 노동자가 대답해주기 전에는 보지 못했던 것이 그제야 보였다. 아는 것만큼 보인다. 바람이 어디로 가는가? 바람만이 아는 대답이다. 그러나 더 알게 된다면 내게도 보이지 않을까?
슬픈 전설
비내리는 강가에서 묻는다
이 도도한 강물이 너냐
이 도도한 강물에 떨어지는 빗방울이 너냐
고개숙인 나를 피해
빗방울은 파문을 잠시 그리다 사라진다
대답도 없이 제 갈길 간다
그 비 한 방울 채우지 못해서
저 멀리 추방된 은하수는 차라리 전설이었다
비내리는 강가에서
우리는 슬픈 전설 하나쯤
가지고 산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