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친구들영화제2010] 류승완 감독의 선택작, <열혈남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친구들영화제2010] 류승완 감독의 선택작, <열혈남아>

[Film Festival] 왕가위 <열혈남아> 프리뷰

매년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에서 류승완 감독이 어떤 영화를 선택하느냐는 일부 팬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아왔다. 장르에 대한 취향과 지향이 비교적 또렷한 류승완 감독인 만큼, 그의 선택작은 당대에 그저 흥행한 장르 상업영화로 지나가버린 영화를 재발굴하고 재평가 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곤 했다. 올해 류승완 감독이 선택한 영화는 <열혈남아>. 홍콩영화 키드를 자처하는 류승완 감독다운 선택이지만, 이 영화 역시 무협과 홍콩누아르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는 류승완 감독의 선택치고 묘한 신선감을 안겨준다. 왕가위 감독의 데뷔작인 <열혈남아> 자체가 기존 홍콩 무협 및 누아르의 문법과 법칙을 뒤틀어 변주하는 영화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열혈남아>는 내일(21일) 영화제에서의 첫 상영을 하게 되며, 영화 상영 직후엔 역시 홍콩영화 매니마/전문가로 알려져 있는 주성철 《씨네21》 기자의 진행 하에 류승완 감독과의 시네토크가 있을 예정이다. 이후 26일과 2월 7일에 각각 한 번씩 더 상영된다. 이번 친구들영화제에서 상영되는 버전은 홍콩판으로, 국내에서 개봉됐던 대만판과는 엔딩이 다르다. 이 기사는 친구들영화제 웹데일리 공식 블로그(http://trafic.tistory.com)에서도 볼 수 있다. - 편집자

▲ <열혈남아>

<열혈남아>(1988)는 왕가위 감독의 첫 번째 영화다. 홍콩 느와르가 인기 절정을 누리던 80년대는 한 편의 히트작에 관한 속편과 아류작들이 대량으로 제작되어 영화감독과 스태프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었다. 그로 인해 많은 시나리오 작가들이 감독으로 데뷔했는데 이런 분위기 속에서 왕가위도 시나리오 작가에서 감독으로 나섰다. 당시 왕가위는 흑사회를 소재로 한 '홍콩 느와르' 장르를 정착시킨 등광영 밑에서 시나리오 작가로 일하고 있었는데, 친구인 유진위가 왕가위를 추천하게 되면서 등광영의 지원, 제작으로 연출하게 되었다 한다.

<열혈남아>는 줄거리 상으로는 80년대 홍콩영화의 주류장르였던 홍콩 느와르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왕가위는 느와르 혹은 갱스터 장르의 정석적인 틀만을 유지하고 있다. 구룡의 어두운 뒷골목을 방황하는 두 청년 소화(유덕화)와 창파(장학우)에게서 강호의 호걸과 초막의 군자가 결합된 홍콩 느와르풍의 영웅은 볼 수가 없다. 오히려 소화와 창파에게서는 실패한 영웅의 모습과 영웅 콤플렉스로 가득 찬 어린 남성의 모습이 그려진다. 가진 것 하나 없으며 사랑하는 여자에게 어떤 앞날도 약속을 할 수 없는 소화와 단 일분이라도 영웅이 되고 싶어하는 창파의 모습은 어두운 뒷골목을 방황하며 쓰레기 같은 삶을 살고 있는 가장 현실적인 영웅의 모습으로 왕가위는 기존의 홍콩 느와르와 구별되는 변형된 영웅 캐릭터를 만들었다.

영화에서 느껴지는 암울함, 불안함, 허무함, 우울함의 정서는 10년 후인 1997년 중국으로의 홍콩 반환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의 정서로 읽히기도 한다. 특히 "내일 무슨 일이 일어날지 나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소화의 말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불투명한 홍콩의 운명에 대한 은유다. 그리고 오우삼의 크고 화려한 홍콩 도시와 대비되는 싸구려 네온사인 간판과 불빛만 반짝이는 어둡고 비좁은 뒷골목이라는 영화 속 공간은 홍콩의 미래에 대한 불안의 정서가 반영된 공간적 메타포다.

▲ <열혈남아>

한편 왕가위를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는데, 바로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슬로우 모션 효과의 '스텝프린팅' 기법이다. 데뷔작인 <열혈남아>에서도 왕가위 특유의 스텝프린팅 기법이 눈길을 끈다. 소화가 창파의 복수를 하는 포장마차 액션씬과 소화와 아화(장만옥)의 공중전화 부스 키스씬 장면이다. 시간을 늘려서 액션의 순간과 키스의 찰나를 담아내는 이 장면들에서 왕가위는 액션의 강약을 조절하고 슬로우 모션을 통해 심리적 지속감을 유지시킨다.

1989년 국내 개봉 당시 <열혈남아>의 마지막 장면은 바보가 된 채 감옥에 수감된 소화를 아화가 면회하고 나오는 버전이었다. 실제로 <열혈남아>는 소화를 면회하고 나오는 아화로 끝나는 홍콩판과 경찰서에서 바로 죽은 소화로 끝나는 대만판, 이렇게 두 가지 버전이 있다. 이 영화가 가진 서로 다른 결말을 어떻게 읽어야 될까? 정확한 대답은 할 수 없지만 확실한 것은 어떤 결말이라도 영화가 주는 여운은 강하다는 것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