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21일 16시 5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제작자인가, 수입업자인가 (1)
[고성일의 뮤지컬 에세이]
어떤 예술 창작 작업이 외롭고 힘들지 않겠냐마는 한국에서 새로운 뮤지컬 작품을 쓴다는 것은 정말로 외롭고 힘든 싸움이다. 새로운 작품을 쓴다는 것 자체가 원래 힘든 것이지만 외적인 요인들이 창작인을 괴롭히면 더욱 외롭고 힘들다. 그 외적인 요인들 가운데 하나가 해
고성일 중앙대학교 연극학과 교수
뮤지컬 배우의 3박자라는 함정 (3)
앞서 뮤지컬은 연극의 한 양식이라고 말한 시각을 통해 이야기하자면 뮤지컬 배우 역시 뮤지컬이라는 양식의 특성에 따르는 전문성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뮤지컬이 아닌 공연 예술이나 다른 장르에서 연기를 하는 배우들보다 특별히 우월한 존재는 아니다. 어쨌거나 그들은
뮤지컬 배우의 3박자라는 함정 (2)
나는 2002년 가을학기부터 지금까지 대학에서 강의를 해오고 있는데, 수업을 통해 만나게 되는 학부생들은 해마다 급격히 달라지는 느낌이다. 특히 연기를 전공하는 배우 지망생들은 더욱 그렇게 느껴진다. 수년 전만해도 연극학과 학생으로서 '연극을 할 것이냐, 방송을
뮤지컬 배우의 3박자라는 함정 (1)
"뮤지컬 배우는 춤, 노래, 연기 3박자를 고루 갖추어야 한다." ...내가 가장 진부하게 생각하는 말 가운데 하나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뮤지컬 배우는 춤, 노래, 연기를 다 할 줄 알아야 한다. 그러나 그 '3박자'가 뮤지컬 배우가 되기 위한 충분조건은 아니다. 그
"한국에서 뮤지컬이 인기가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고성일의 뮤지컬 에세이] 왜 하필 뮤지컬인가? (3)
이런 본질적인 질문을 해보려고 한다. '우리는 왜 하필 뮤지컬이라는 양식으로 연극을 만들어 표현하는가?' 이 질문은 '한국에서 왜 뮤지컬이 인기가 많은가'라는 사회적, 역사적 그리고 상업적 관점의 질문이 아니라 글자 그대로 뮤지컬이라는 연극적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