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1월 23일 05시 5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랩에 싸서 전자레인지로 데워? 진실 알면 또 "악!"
[나노 세계 여행·끝] 랩
현대 시대에서 플라스틱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지난 2008년 한국인 첫 우주인이 되었던 이소연 씨가 처음으로 한국 음식을 우주 식량으로 사용할 때에도 플라스틱은 우주에서 매우 중요한 음식 저장 용기로 개발 및 사용되었다.
홍진기 상명대학교 교수, 강상욱 MIT 연구원
2011.02.24 09:55:00
생각 없이 휘젓는 커피 막대? 진실 알면 "악!"
[나노 세계 여행] 커피 막대
어느 시대에나 혁명이 존재한다. 사전적 의미의 혁명이란 "이제까지의 체제를 폐기하고 새로운, 한층 고도의 체제를 세움으로써 생활에 근본적인 전환을 가져오는 것"을 뜻한다. 대표 적인 사회 혁명으로 18세기 영국의 산업혁명과 프랑스 혁명이 있지만, 이러한 커다란 변혁
2011.02.22 10:43:00
부드러운 속살·단단한 껍질…조개의 비밀은?
[나노 세계 여행] 조개껍질
초등학교 때 소풍이나 레크리에이션 시간이면 거의 빠짐없이 즐겨 부르던 노래가 바로 '조개껍질 묶어'였다. 워낙에 많이 불렀던 노래였기에, 세월이 흐른 지금 들어도 늘 익숙하고 흥겨운 멜로디다. 이 노래에 나온 대로, 관광지에 놀러 가면 각종 액세서리로 만들
2011.02.15 07:58:00
종이컵에 뜨거운 물? 세상에 이런 일이!
[나노 세계 여행] 종이컵
'과학'이라는 단어에는 무한한 신뢰의 뜻이 숨어 있다. 과학기술의 시대인 21세기에는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합리적인 판단들은 진리로 믿어지며 더 이상의 다른 잣대로 이를 평가하려 하지 않는다. 그만큼 자연을 온전히 이해하고 인간의 편익 증진을 위해 올바르게
2011.02.10 09:14:00
생선뼈에 미친 과학자, 그 이유를 알고 보니…
[나노 세계 여행] 생선뼈
바야흐로 복합 기술의 시대이다. 최신 전자 기기들은 다기능화를 통해 특정 기능 하나만을 가지고 있는 것을 넘어 여러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복합 기기의 형태를 띤다. 두 개 이상의 장점을 섞어 시너지 효과를 갖는 것은 전자 기구뿐만이 아니다. 전혀 새로운 연구를 시
2011.02.08 08:02:00
선크림을 바르면 얼굴이 하얗게 뜨는 이유는?
[나노 세계 여행] 선크림
요즘은 남녀노소 누구나 피부에 관심이 많다. 화장품이 여자들의 전유물이었던 시절도 있었지만, 남성 화장품 시장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처럼 피부에 대한 관심은 남녀가 따로 없는 듯하다. 예전에는 단순히 기미, 주근깨, 여드름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2011.01.27 09:24:00
붙었다 떨어졌다 '포스트잇'의 비밀은?
[나노 세계 여행] 접착 종이
세계를 변화시킨 발명품은 때로는 실패를 바탕으로 한 간단한 과학적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이제는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접착 종이의 경우도 실패한 것이라 생각된 접착제의 개발에서 오히려 성공의 실마리를 찾았다. 접착력이 불안정한 접착제의 결과를 역으로
2011.01.20 09:14:00
네 잎 클로버='행운'? 그 이유는…
[나노 세계 여행] 클로버
초등학교 시절 소풍 갔을 때의 일이다. 공원에서 담임 선생님께서 우리 학생들에게 네 잎 클로버를 찾아보라고 말씀하셨다. 그것을 찾으면 행운이 찾아온다는 얘기에, 우리 학생끼리는 엄청난 경쟁이 붙었으며, 정신 없이 네 잎 클로버를 찾았다. 네 잎 클로버인 줄 알고 뽑
2011.01.19 09:29:00
칫솔과 치약의 궁합을 확인하는 방법은?
[나노 세계 여행] 칫솔
우리는 누구나 칫솔을 사용한다. 예전 한 사극에서 어떤 사람이 치아를 닦을 때, 단지 두 손가락만으로 소금을 이용해 닦는 모습이 생각이 난다. 요즘은 굳이 두 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이를 닦을 수 있는 세상이니, 참으로 편리한 세상이 아닐 수 없다. 일반 형태이든 전동
2011.01.13 14:28:00
톱날·드릴·빨대…흡혈 모기의 비밀은?
[나노 세계 여행] 모기
자연은 가장 위대한 과학이다. 과학자들은 깊이 들여다보면 볼수록 자연이란, 매우 정교한 과학적 산물임을 깨닫는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보이지 않던 세계까지 들춰지면서 비로소 미지의 낱말 퍼즐을 맞춰가는 것이 자연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고 있다. 가장 신비롭고
2011.01.11 08: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