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8월 22일 06시 2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중소기업 살리기', 문재인 정부에 대한 제언
[복지국가SOCIETY] 문재인 정부 경제 정책 성공을 위한 제언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공정 경제, 혁신 성장에 많은 국민이 공감하고 동의했지만, 구체적인 경제 정책의 추진 방안과 내용에는 아쉬움이 많다. 지난 정부 10년간의 잘못된 정책 탓도 있고, 우리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도 누적되어 있기에 어느 누가 맡아도 쉽지 않은 상황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방향의 올바름에도 불구하고 정책 내용이나 세부 정책들 간의
박민식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정책위원
2019.01.15 00:39:08
'김용균법' 시행해도 사람 목숨값 500만 원
[복지국가SOCIETY]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의 의의와 과제
2018년 12월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점검하다 24세 청년 김용균 씨가 안타깝게 사망하였다. 그가 남긴 유품에 포함된 컵라면은 2년 전 구의역에서 스크린 도어 정비 작업을 하다 사망한 19세의 꽃다운 청년을 생각나게 한다. 그도 역시 컵라면을 유품으로 남기고 우리 곁을 떠났다. 수시로 지시가 내려와 밥 먹을 시간조차 없기 때문에 컵라면으로 끼
정혜선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정책위원
2019.01.08 09:30:25
지방분권 위해 사회적 경제를 키우라
[복지국가SOCIETY] J노믹스와 사회적 경제, 우리가 만들자
#1 장면 하나: 추락하는 문재인 정부의 지지율 80%대의 높은 지지율을 보이던 문재인 대통령의 업무 수행 긍정 평가 비율이 최근에 50% 이하로 내려갔다.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경제 상황이 그 최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소득 주도 성장, 공정 경제, 혁신 성장의 세 바퀴 경제 정책을 내걸었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그 효과를 체감하지
윤호창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사무처장
2018.12.25 12:11:50
원희룡의 영리병원 허용, 명분 없다
[복지국가SOCIETY] 영리병원 허용인가 공공의료 확충인가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불허 권고'로 의견을 모은 숙의형 공론조사위원회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녹지제주헬스케어타운 유한회사의 영리병원 개설을 허용했다. 원희룡 지사는 내국인 진료를 금지하고 외국인 의료 관광객만을 대상으로 하는 조건부 개설 허가이기 때문에 '의료 공공성'이 약화하지 않으리라고 공언했다. 하지만 많은 제주도민들과 시민단체들은 거리로 나서 조직적으로
이상구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운영위원장
2018.12.11 09:10:43
커뮤니티 케어, 주택 공급보다 인력 지원이 먼저다
[복지국가SOCIETY] 문재인표 커뮤니티 케어 정책, 어떻게 볼 것인가?
지난 11월 20일, 보건복지부는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 계획'이라는 제목으로 노인 분야 커뮤니티 케어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올 1월 업무보고에서 포용 복지의 일환으로 지역 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보건복지 서비스를 커뮤니티 케어라는 이름으로 추진하겠다고 선언한 이후 10개월여 만이다. 정부는 커뮤니티 케어를 '주민들이 살던 곳(자기 집이나 그룹 홈 등)
장봉석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정책위원
2018.12.04 10:20:16
한국이라는 거대한 중증외상센터
[복지국가SOCIETY] 소득주도 성장의 성공을 위한 3박자 : 정책・예산・행정
지난해 판문점 귀순 병사를 기적처럼 살려냈던 이국종 교수(아주대학교 권역외상센터)가 지난 11월 8일 JTBC 뉴스 인터뷰에서 중증외상센터의 열악한 환경과 부실한 운영 실태를 고발했다. 귀순 병사를 극적으로 살려낸 것이 의사로서 한 인간이 발휘했던 극도의 정신력 덕분이었다면, 낙후된 시스템으로 많은 사람들이 골든타임을 놓쳐 사망에 이르는 현실은 또 다른 일
김진희 복지국가소사이어티 노동위원장
2018.11.27 08:53:34
'아동수당 100% 지급' 김성태의 약속을 믿는다
[복지국가SOCIETY] 자유한국당도 굴복시킨 보편적 복지의 위력
"왜 재벌 손자에게 아동수당을 주어야 하나?" "금수저에게 아동수당을 줄 순 없다. 예산의 낭비다." "무상복지하면 나라 망한다!" "보편적 복지는 포퓰리즘이다." 이는 다름 아닌 자유한국당이 1년 전에, 아니 불과 한 달 전만 해도 강력하게 주장했던 내용들이다. 이랬던 한국당이 갑자기 입장을 바꿨다. 재산이 많고 적음을 떠나 아동수당을 대상자 모두에게 지
고영인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정책위원
2018.11.19 10:31:48
공적 연금, 국가가 책임져라
[복지국가SOCIETY]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전에 국가의 재정 책임부터
지난 11월 7일, 국민연금 개혁안 초안에 대하여 문재인 대통령은 전면 재검토를 지시했다. 보험료를 15%까지 인상하는 것이 현 상황에서 타당한가? 문제를 제기를 한 것이다. 정확하게 문제의 핵심을 짚은 지시라고 생각한다. 물론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를 위한 보험료 인상은 어쩌면 불가피하다. 그러나 보험료 인상 논의가 수용되기 위해서는 국가의 재정 책임부터
이재섭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사회복지위원장
2018.11.13 08:02:48
1%가 여의도 1000개 소유...사막에 나무 심는 청년들
[복지국가SOCIETY] 양극화 사회의 무기력한 정책들
베이비부머의 자식 세대에서 시작됐다는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은 삶의 트렌드로 자리를 잡고 있다. 불확실성을 넘어 불가능한 미래에 투자하는 대신 당장의 소소한 일상에서 위안을 찾겠다는 의지다. 소박한 삶의 방식처럼 보이지만, 실은 살아남기 위해 고안된 최적화 방식이랄까? 안쓰러움이 느껴진다. 우리 사회에서 젊은이들이 자신의 능력을 시도해볼 무대가
김진희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정책위원
2018.11.06 15:26:40
외국인 건강보험에 대한 혐오를 멈추자
[복지국가SOCIETY] 외국인 건강보험, 사실은 흑자였다
외국인 건강보험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심하다. 그리고 이것이 저개발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 온 외국인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부정적 인식과 혐오를 키우고 있다. 나는 설사 어떤 내용이 사실이라고 하더라도, 타인에 대한 혐오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하물며 오해와 편견 때문에 가진 혐오라면 심각한 잘못이다. 2018년 국정감사를 앞두고 언론이
이상이 복지국가소사이어티 공동대표
2018.10.30 09:2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