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부산시장 출마설', '전문성 부족'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이들은 이재명 대통령 대선 공약 사항인 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서는 "정치적인 계산법에 의해서 (해수부 이전이) 진행되면 안 된다"고 신중론을 제기했다.
국민의힘 강명구 의원은 14일 오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전 후보자를 겨냥 "(전 후보자가) 올해 안에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고 그걸 업적 삼아 부산시장에 출마하시는 것 아니냐는 세간의 얘기들이 있다"며 "이게 이재명 정부의 내년 지방선거 전략이 아니냐"고 공세를 폈다.
강 의원은 "고작 8개월 장관 하겠다고 내년에 해수부를 버리고 부산시장 선거에 나가실 예정이라면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부산시장 출마하시겠나, 하실 생각이 없으신 건가"라고 물었다.
전 후보자는 "장관이 된다면 제가 해야 될 일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며 "저는 지금 내년 부산시장선거 출마를 생각할 겨를이 없다"고 대답했지만, 강 의원은 "불출마 선언이라고 봐도 되는가"라고 공세를 지속했다.
이에 전 후보자가 "세상 일을 우리가 단정적으로 말할 수가 없지 않나"라며 불출마 선언에 선을 긋자 강 의원은 "그러면 불출마 선언을 못하겠다는 것으로 보겠다"고 했다. 전 후보자는 "못하는 것이 아니"라며 "(장관 업무에) 집중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같은 당 정희용 의원도 "해수부 이전이 내년 지방선거용이거나 전 후보자의 부산시장 출마용이면 안 되겠지 않나"라고 공세에 합류했다. 전 후보자는 재차 "그럴 리가 있겠는가"라고 일축했지만, 정 의원은 "출마를 안 하신다는 말씀은 안 하신다"고 재차 꼬집었다. 전 후보자는 "그럴 일은…"이라고 말끝을 흐렸다.
국민의힘 측은 전 후보자가 국회 활동 당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와 인연이 없던 점을 들어 '전문성 부족'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만희 의원은 "(전 후보자가) 10년 의정생활을 하면서 '해양과 관련된 토론회를 두세 번 했다'는 것하고, 1건도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했지만 (관련 법안) '대표발의 서너 건 했다'는 것을 가지고 '의정활동을 하면서 해상수산부의 다양한 분야를 경험했다'고 강변한다"며 "제가 봤을 때는 절대로 우리 후보자가 해양의 전문가라고 하실 수는 없다"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전 후보자는) 후쿠시마 오염수와 관련해서 우리 어민들의 가슴을 아프게 한 그런 분"이라며 "(당시 어민들에게) '과학 자체를 너무 과신하지 말라'고 말씀하신 분인데 이분을 왜 해수부 장관으로 지명했을까. 상식적으로는 다음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것 외에는 이해할 길이 없다"고도 했다.
전 후보자는 "(전문성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 앞으로 지켜봐주시고 제가 내는 실적과 성과를 가지고 평가를 해주십사 한다"면서도 "해수부 이전이라든지 이 부분 공약을 제가 설계를 했다. 과연 전문성이 없다면 이런 공약을 설계해서 이 엄청난 해수부를 똑 떼내 부산으로 옮기겠다라는 이런 결정이 가능했겠나"라고 반박했다.
그는 후쿠시마 오염수 발언 관련 공세에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수산물의 안전, 또 우리 바다의 해양생태계를 지키자는 그런 진심 어린 발언이었다"고 했다.
전 후보자의 장관직 취임 이후 1호 과제가 될 해수부 이전과 관련해선 '졸속 이전' 문제가 제기됐다. 국민의힘 서천석 의원은 "정부 부처 이전 부분은 정말 신중하게 접근해야 될 부분"이라며 "정치적인 계산법에 의해서 이게 (해수부 이전이) 진행이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의 경우 "세종이나 충청권 의원들 사이에선 (해수부 이전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데 (이전하는 게 아니라) 외청을 두자는 의견도 있다"고 말해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전 후보자는 "위원님들의 말씀을 유념해서 (진행을) 하도록 하겠다"면서도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이전해 해수부를 거점으로 북극항로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고 선도한다면 부산으로 오는 것이 1천,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이전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전을 하지 말고 외청을 두자'는 일각의 의견에 대해서도 "외청을 두는 것보다 해수부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효과가 훨씬 더 크다"고 했다.
중국의 서해 구조물 설치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에 강력 항의하고 철거를 요청했는데 그런데도 가시적 조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비례 대응의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전 후보자는 본인이 과거 속도위반 등으로 수 차례 교통 법칙금을 납부한 데 대해서는 "두 말할 필요 없이 저의 부주의이고 우리 국민들께 그리고 우리 위원님들께 송구하고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전 후보자는 민주당 문대림 의원이 "후보자 명의 차량 과태료가 너무 많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속도 위반이 있다. 이것은 더 큰 반성을 해야 될 부분"이라고 지적하자 "대단히 송구스럽고 죄송하다"며 이같이 답했다.
야당 측은 '지난 2022년 전 후보자가 이재명 대통령의 주식거래를 비판했을 당시, 전 후보자 배우자도 주식거래를 통해 상당한 이득을 봤다'는 취지의 주장을 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강 의원은 "(2022년 당시 전 후보자가 이 대통령에게) '지지했던 사람들이 뉴스도 못보고 널부러져 있는데 혼자 정신 차리고 주식 거래를 한다'며 조롱에 가까운 표현까지 써가며 강한 비판을 했다"며 "그러면 아내분이 주식 거래한 것은 괜찮나"라고 꼬집었다.
전 후보자는 "이재명 당시 후보와 제 집사람이 주식 거래한 것에 어떤 논리적 연관성이 있는지 잘 이해가 안 된다"며 "(배우자는) 국회의원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 3000만 원 이하에 대해서 주식 거래를 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본인이 당시 이 대통령 주식 거래를 비판한 일에 대해서는 "조롱은 아니었다"며 "선거에 지고 난 뒤에 많은 지지자들이 실망하고 슬픔에 빠져 있는 그런 부분들을 조금 더 감안을 했으면 좋지 않았겠나 이런 취지였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