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주식 양도소득세 기준을 둘러싼 당내 논란에 대해 "적절치 않아 보인다"며 "공개적인 입장표명을 자제해 달라"고 주문했다.
정 대표는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주식양도소득세에 관한 논란이 뜨겁다"며 "당내에서는 이렇다 저렇다 공개적으로 논란을 하는 건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어 "이 문제에 대해선 비공개에서 충분히 토론할 테니 의원들은 공개적인 입장표명을 자제해주길 바란다"며 "가장 빠른 시간 안에 (당의) 입장을 정리해서 국민께 알려드리도록 하겠다"고 했다.
그는 한정애 신임 정책위의장에게 "오늘 중으로 A안, B안을 작성해서 최고위원회에 보고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앞서 정부가 주식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을 종목당 보유금액 '50억 원 이상'에서 '10억 원 이상'으로 강화하는 내용의 세제개편안을 발표한 직후 코스피가 급락하면서 여권 내 의견이 분분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1일 "10억 원 대주주 기준의 상향 가능성 검토 등을 당내 조세정상화특위, 코스피5000특위를 중심으로 살피겠다"고 말해 정책 선회를 시사했다.
코스피5000특위 소속인 이소영 의원도 "(이번 세제개편안은) 부동산에서 주식으로 돈의 물꼬를 트겠다는 정부의 정책으로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했고, 전용기 의원도 페이스북에 "이번 대주주 범위 확대와 후퇴된 배당소득 분리과세 정책이 재고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썼다.
반면 진성준 전 정책위의장의 경우 지난 1일 본인 SNS를 통해 "세제개편안은 코스피5000을 비롯한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의 재원을 마련하고, 무엇보다 윤석열 정권이 훼손한 세입기반을 원상회복하는 것"이라며 양도소득세 관련 정책을 강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 대표는 전당대회 당시에 이어 취임 이후 주재한 첫 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도 '내란척결' 등 국민의힘을 향한 강성 기조를 재차 강조했다.
정 대표는 "전당대회를 통해 보여주신 국민과 당원들의 뜻은 분명했다"며 "내란세력과 타협하지 않고 내란세력을 완전히 뿌리 뽑을 수 있는 강력한 민주당, 이재명 정부 성공을 뒷받침할 유능한 민주당을 만들어 달라는 국민과 당원의 명령"이라고 했다.
정 대표는 본인이 '속도전'을 강조해온 검찰·언론·사법개혁에 있어서도 "폭풍처럼 몰아쳐서 전광석화처럼 끝내겠다"며 "국민들께 약속드린 '추석 전' 시간 안에 개혁을 완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실제로 이날부터 검찰·언론·사법개혁 특별위원회를 각각 설치해 가동에 들어간다. 검찰개혁 특위엔 민형배 의원이, 언론개혁 특위엔 최민희 의원이, 사법개혁 특위엔 백혜련 의원이 임명됐다.
이외 정 대표의 공약 사항이었던 '당원주권 정당 실현'을 위한 당원주권정당 특위도 설치된다. 정 대표의 당권 레이스를 도왔던 장경태 의원이 특위 위원장을 맡았다.
정 대표는 "모든 당원 1인 1표제, 전당원 투표 상설화 등 국민과 당원께 약속드린 것들을 빠르게 진행하겠다"며 "당원동지 여러분의 눈높이에 맞는 당헌·당규 개정으로 당원이 주인인 당원주권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정 대표는 취임 소회로는 "이재명 대표 1기 수석최고위원으로 이 자리에서 윤석열 검찰 독재정권의 야당탄압 정적제거 이재명 죽이기에 맞서 이재명 대표를 지켰다"는 등 이재명 대통령과의 인연을 강조하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