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트럼프 '인도 압박' 목적은 관세 협상? 우크라전 휴전?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트럼프 '인도 압박' 목적은 관세 협상? 우크라전 휴전?

러 원유 구매 재차 비판하며 인도 관세 인상 예고·'중국 견제' 협력 기조서 변화 주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구매 관련 관세 압박을 강화하며 중국 견제를 위해 협력해 왔던 양국 관계에 이상기류가 흐르고 있다.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인내심을 잃고 있는 듯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를 통해 우크라전 휴전 압박에 나선 것인지 혹은 관세 협상 전술에 그칠 것인지 주목이 모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이하 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인도는 막대한 규모로 러시아산 원유를 사들일 뿐 아니라 구매한 원유를 공개시장에 되팔아 큰 이윤을 남기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들(인도)은 얼마나 많은 우크라이나 국민들이 러시아 전쟁 기계에 의해 살해되는지 신경쓰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러한 이유로 나는 인도가 미국에 지불하는 관세를 상당히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인도에 유사한 이유로 25% 관세를 책정했는데 이보다 더 높은 관세를 예고한 것이다. 당시 함께 으름장을 놓은 "벌칙"이 4일 예고한 추가 관세를 의미하는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인도는 즉각 반발했다. 란디르 자이스왈 인도 외무부 대변인은 소셜미디어에 공개한 성명을 통해 "인도를 겨냥하는 것은 부당하고 비합리적"이라며 "국익과 경제 안보를 지키기 위해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인도 글로벌무역연구이니셔티브(GTRI)의 무역정책전문가 아자이 스리바스타바는 "인도는 원유 순수입국이고 수출은 전무하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다만 인도가 러시아산을 포함한 원유를 정제해 경유, 제트연료유 등 석유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과 인도 정부의 갈등은 지난주 상호관세 마감 기한을 앞두고 불거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산 군사 장비 및 원유 수입 등을 근거로 인도에 25% 관세 및 "벌칙"을 예고했고 이후 실제로 25% 관세를 책정했다. 그러나 지난 주말 외신들은 인도 고위 당국자 등을 인용해 인도의 러시아 원유 구입 정책에 변화가 없다고 보도했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와 협력 기조를 보여 온 미국이 연일 인도를 공격하며 양국 관계가 흔들릴지에 이심이 높아지고 있다. 협력 기조 아래 조 바이든 미 전 대통령도 2023년 미국을 국빈 방문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극진히 예우했다. 모디 총리는 당시 두 번째 미 상하원 합동연설에 나서며 2차 대전 당시 영국 총리였던 윈스턴 처칠과 남아프리카공화국 최초 흑인 대통령이었던 넬슨 만델라급 대우를 받았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미 제너럴일렉트릭(GE)이 인도에서 전투기 엔진을 생산하기로 하는 등 양국 간 군사 협력도 강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도 1기 때부터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 각별한 친밀감을 표시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미국에 방문한 모디 총리와의 공동기자회견에서 인도를 "진정한 친구"로 칭했고 2020년엔 모디 총리의 고향이자 정치적 기반인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에 방문하기도 했다. 2기 집권 때도 취임 한 달이 지나지 않은 지난 2월 모디 총리를 백악관에서 만나 전략적 파트너십을 재강조했다.

최근 인도가 관세 협상 뿐 아니라 파키스탄과의 분쟁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심기를 거슬렀다는 추측이 나온다. 지난 5월 인도와 파키스탄이 무력 충돌 뒤 휴전했을 때 트럼프 대통령이 중재 성과를 내세우자 인도 쪽은 외부 개입이 없었다며 찬물을 끼얹었다. 파키스탄 쪽이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한 것과 대비된다.

모디 총리 쪽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파키스탄과 가까워지는 것에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지난주 인도를 압박한 트럼프 대통령은 파키스탄과는 협상을 마무리했다며 석유 개발 협력까지 예고했다. 이후 발표된 미국의 수정된 상호관세율에서도 파키스탄엔 인도보다 낮은 19% 관세가 책정됐다. <AP> 통신은 모디 총리가 파키스탄에 강경한 입장을 취해 왔고 국제적으로도 파키스탄을 고립시키려는 외교적 시도를 해 왔는데 최근 트럼프 대통령 행보로 이러한 노력이 흔들리고 있다고 짚었다.

<AP>를 보면 인도 뉴델리 진달국제관계대학원의 스리람 순다르 차울리아 교수는 인도 입장에서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현 상황이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으로 지나가는 것"이라며 "만일 미국과 파키스탄의 금융·에너지 거래가 실제로 이뤄진다면 이는 인도-미국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훼손하고 인도 관점에서 미국에 대한 신뢰 상실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도 압박에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방점이 관세 협상에 있는지 러시아산 원유 구매, 즉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러시아를 간접 압박하는 데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우크라전 방점 땐 인도 넘어 러·중에도 파장…단순 협상 전술 가능성도

만일 트럼프 대통령의 초점이 우크라전 휴전 압박이라면 향후 일주일간 파장은 인도를 넘어 러시아와 중국에도 미칠 수 있다. 취임 뒤 트럼프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비판하고 우크라이나에 무기 배송을 일시 중단하는 등 러시아 친화적이거나 오락가락하는 태도를 보여 왔지만, 지난달부턴 러시아 비판으로 입장이 기울었다. 호의적 태도를 통해 러시아로부터 휴전을 이끌어내려 했지만 푸틴 대통령이 끌려오지 않자 좌절감을 표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4일 우크라전 휴전 협상 "진전"을 촉구하며 러시아에 관세 100%, 러시아 원유를 사들이는 국가엔 관세를 통한 2차 제재를 가할 것을 예고했다. 이 때 러시아에 부여한 시한이 50일인데 지난달 말 그 시한을 돌연 "10~12일"로 앞당겨 오는 8일 시한이 만료된다.

러시아 연료를 적극 수입해 2차 제재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주요국 중 하나는 중국이다. 상대방에 10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 전쟁을 벌여 온 미국은 지난 5월 관세를 일부 유예하기로 합의한 뒤 이를 연장하기 위해 지난달 28~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회담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일로 다가온 유예 만료 기간 연장 확정을 미루고 있다.

다만 인도 압박의 주된 목적은 어디까지나 관세 협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뉴욕타임스>는 일부 전문가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들이 미-인도 양자 무역 협정을 위한 압박 전술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 연료를 대량 구매하는 다른 주요 국가인 중국 및 튀르키예(터키)에 대해선 관련 언급을 하고 있지 않기도 하다.

<AP>에 따르면 차울리아 교수는 "트럼프 정책의 격렬한 변동을 고려할 때" 모디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 관계가 "다시 하이파이브와 포옹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인도 지도부가 앞에선 러시아 원유 구매와 관련한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인도 국영 정유사는 이미 러시아 외 지역에서 원유 수입을 늘리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4일 <로이터> 통신은 무역 소식통 4명을 인용해 인도 국영 정유사 인도석유공사(IOC)가 최근 미국·캐나다·중동에서 입찰을 통해 9월 인도분 원유 700만배럴을 구매했다고 보도했다. 구매분엔 미국산 450만배럴, 캐나다산 50만배럴,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산 200만배럴이 포함된다. 두 소식통은 이는 평소보다 많은 구매량이라며 부분적으로 러시아산 원유를 대체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 위협 뒤 지난주 IOC, 힌두스탄석유공사(HPCL), 바라트석유공사(BPCL) 등 인도 국영 정유사들이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중단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지난 1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에서 한 학생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묘사한 그림을 그리고 있다. ⓒAP=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효진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