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용민 의원이 "김건희는 대통령이 실제 되려고 했다", "그게 12.3 내란의 중요한 목표"라는 주장을 해 눈길을 끌었다.
김 의원은 13일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난 제20대 대선 과정 당시 공개된 김 전 대표의 '7시간 통화' 녹취록을 언급하면서 "(김 전 대표는) '내가 정권을 잡으면 무사하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얘기를 한다"며 "그때부터 이미 정권을 자기가 잡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그때는 그냥 '저 사람의 표현이 격했나 보다' 이렇게 이해하는 분들이 많았을 것 같다"며 "지금 보면 실제 김건희의 본심은 내가 정권을 잡겠다는 것에 방점이 찍혀 있었던 것"이라고 했다.
이어 김 의원은 "결국에 김건희는 자기가 대통령이 실제 되려고 했다. 저는 그게 12.3 내란의 굉장히 중요한 목표였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그는 "(계엄 성공 시에) 비상입법기구를 만들고 헌법을 개정하겠다라는 것들이 노상원 수첩에 다 나와 있지 않나"라며 "헌법을 개정해서 대통령직선제를 폐지하고 대통령을 비상입법기구에서 뽑는 방식, 예전의 체육관 선거 이런 방식으로 하면 그다음 대통령은 김건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예전에 전두환 때 5공화국을 만들 때 이 방식을 취했다. 지금 말씀드린 이 스텝이 다 5공화국 때 만들어진 것"이라며 "윤석열은 전두환을 존경한다고, 가장 잘했던 대통령이라고 얘기했던 것을 보면 그 방식을 그대로 차용해서 김건희가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되고, 영구집권을 하려고 했을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