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은 해방 후 8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역사 청산이 미진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복회는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여론조사 전문기관 코리아데이터월드에 의뢰해 지난 1일부터 7일까지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의 70.9%가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고 13일 발표했다.
독립유공자 후손의 78.0%는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반민족 행위자 후손이 여전히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문항에는 일반 국민의 63.6%, 독립유공자 후손의 70.2%가 동의했다.
'지금이라도 친일 잔재 청산이 필요하다'는 항목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 71.8%, 독립유공자 후손 83.1%가 필요성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중요 과제로는 일반 국민 응답자의 30.5%가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반성'을 꼽았다. 이어 '역사 왜곡 방지를 위한 공동 역사연구 및 교육협력'(17.1%), '정치적 이용이 아닌 일관된 외교 원칙 유지'(11.5%)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이번 조사는 일반 국민 1000명과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일반 국민 대상 조사는 95% 신뢰수준에서 ±3.09%포인트(P), 독립유공자 후손 대상 조사는 ±3.19%P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