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 매매가격이 5년여 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정부의 10.15 부동산대책 약발이 다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3일 KB부동산의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을 보면 이달 1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보다 1.72% 올라 2020년 9월(2.00%) 이후 5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는 올해 종전 최고 상승률(1.46%)을 기록한 지난달보다 오름폭이 0.26%포인트 더 커진 결과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8개월 연속 상승 중이다.
서울만 보면 10.15 대책 약발이 전혀 듣지 않는 모습이다.
지역별로 보면 동작구가 3.94% 올라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성동구(3.85%), 광진구(3.73%), 마포구(3.41%), 송파구(2.74%), 중구(2.70%), 강동구(2.35%)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강남3구에 인접한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큰 폭의 오름세가 관측되는 모습이다.
서울의 25개 자치구 중 아파트 매매 가격이 하락한 지역은 없었다. 지난달에 이어 2개월째 같은 흐름이다.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은 6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성남시 분당구(3.81%)와 수정구(2.91%), 광명시(2.36%), 하남시(2.18%), 과천시(2.00%), 용인시 수지구(1.87%)에서 큰 폭의 상승세가 관측됐다.
전국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04.1로 3개월 연속 기준점 100을 넘어섰다. 앞으로도 집값 상승 전망이 우세했다.
아파트 전세가격도 오름세다. 이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29% 올라 9개월째 상승했다.
특히 서울(0.56%)과 경기(0.37%) 등 10.15 대책에 따라 규제 지역으로 묶인 곳의 상승폭이 컸다.
서울에서는 강동구가 1.58% 올라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광진구(1.04%), 송파구(0.90%), 동작구(0.80%), 성북구(0.79%), 서초구(0.78%), 중구(0.64%)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KB부동산뿐 아니라 정부 공인 조사 기관인 한국부동산원에서도 아파트 매매값 상승세가 관측됐다. 이달 셋째주(1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20% 올라 전주(0.17%)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4주 만에 오름폭이 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