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획 문서 중에는 평양중앙우체국에서 노획한 개인 편지 1200여 통도 포함되어 있다. 조선인민군에 입대한 동생이 중국 길림성(지린성) 집의 형에게 쓴 편지, 평남 안주 고향집의 아내가 '해방구'인 서울에 내려가 있는 남편에게 쓴 편지, 인민군 나간 아버지가 평남 용강 고향의 아들에게 '이제는 네가 오마니와 토론해 집안일을 다 해 나아가라'고 부탁한 편지도 있다. 고향을 떠나 자강도 만포의 직장에 가 있는 남편은 황해도 서흥의 고향집 아내에게 쓴 편지에서 '몸 풀 날이 다 되었는데 안녕하신지'를 묻는다. 편지 대부분이 전쟁 직후인 10월에 쓰인 것들이다.
<프레시안>은 10월부터 기획 특집으로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에 보관되어 있는 이 노획 편지 가운데 20여 통을 골라 10회로 나누어 소개하고, 전체 노획 편지 616통의 주소록도 새로 공개한다. 편지가 쓰인지 62년이 지났고, 미 NARA 서고에서 일반에 공개된 지 이미 35년이 흘렀다. 그 모진 세월을 용케 견뎌내고 살아남아 한 번 더 '주인'을 찾아 나선 '잊혔던 편지들'이다.
필자 이흥환은 미 워싱턴의 KISON 편집위원으로, NARA의 노획 편지들을 모아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라는 제목의 책을 엮었고, 책에 소개되지 않았던 편지들을 <프레시안>의 이 특집을 위해 다시 한번 가려 뽑고 주소록을 만들었다. 모두 616통이다.(☞관련 기사 : "미군 노획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
전쟁은 부모 자식, 형제자매뿐 아니라 부부도 갈라놓는다. 가 닿기만 한다면 한 장의 편지만이 두 사람을 잇는 유일한 끈이다. 소리 없는 글이지만, 오히려 그렇기에 편지는 더 큰 말, 더 깊은 말을 한다. 헤어져 있는 남편이 아내에게 보내는 두 통의 편지를 먼저 꺼내 읽어 본다.
첫 번째 편지는 1950년 9월 초 인민군에 징집되어 평양에 가 훈련을 받고 있는 남편이 평남 맹산군 고향집의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10월 10일에 썼다. 평양이 탈환되기 9일 전이다. 편지 겉봉의 수신인 주소란에는 대부분의 다른 편지가 그렇듯이 아내의 이름이 없다. 대신 '방기완 앞'이라고 나이 어린 남동생의 이름을 적고, 형수한테 잘 읽어주라는 부탁의 말로 편지를 시작한다.
기완이야 잘 보아 올니여라.
친애하는 사랑에게 당신과 맹산읍에서 눈물로 작별한(지) 벌서(벌써) 1개월이 되여 각 농촌에서 현물세 사업세 모침님(모친님) 모시고 어린 동생 다리고(데리고) 많이 수고하실 줄 아는 바이다. 남편은 조국과 인민이 요구하는 데로 출발하여 서평양 촌에서 훌련(훈련)하는 바이다. 당신도 아는 바와 지금 전체가 남편 없시(없이) 골난을(곤란을) 극복하는데 금심하여(근심하여) 속쎄기지(속 썩이지) 말고 모침님(모친님)과 토의하여 어린 동생과 화목하여 고생을 낙을 삼고 로력(노력)하기를 바람다. 남편도 역시 멧(몇) 개월 남지 안어(않아) 통일이 되면 상대하여(?) 자미와(재미와) 행복을 니리될(누리게 될) 것이다. 당신은 가정 사업에 열중하면서 xxx xxx 당신 손으로 편지하도록 할 것시고(것이고) 또는 편지할 짬이 없서서(없어서) 각각 못하니 용범이 모침에게(모친에게) 말하면서 답서나 종종하여 주시오. 또는 기양리에서 청년들이 다 있는지 나가는지(나갔는지) 똑똑 알켜주면서 답서할 것. (중략) 나 있난(있는) 곳은 평양특별시 농흥리에서 겨울을 지날 것 갓사오니 그리 아시고 (중략) 끗으로 모침님과 가족 일동이 신체 건강을 봉축한다. (중략) 시간이 없서서(없어서) 어느 골목에 가서 보내는 것이다. (보내는 이: 평양특별시 농흥리 3구4반 (산당집) / 받는 이: 평남 맹산군 원남면 기양리 6반 방기용 댁 방기완) |
아내는 군대 나가는 남편을 읍내(맹산읍)까지 마중 나왔던 모양이다. 눈물 없는 작별도 있던가. 아무리 편지라지만 아내를 내놓고 '사랑'이라 부르는 것이 흔치 않았을 시절인데, 자신을 '남편'이라 부르는 이 남편은 아내를 '사랑'이라고 불렀다. 전쟁이 끝난 후의 재미와 행복도 다짐했다. 지금 겪는 '남편 없는' 고통은 남들도 다 겪는 것이니 근심으로 속태우지 말라고 토닥여주기도 하고, 시어머니 시동생과의 화목을 당부하기도 한다.
글과 친한 사람의 편지는 아니다. 기완이더러 읽어주라 해서 그랬는지, 했다, 해라, 한다, 것이다, 주시오가 뒤섞여도 있고, 철자법도 가지런하지 않고, 글씨체도 말쑥하지 못하다. 그런데도 맞춤법 정갈하게 또박또박 예쁘게 쓴 편지보다 훨씬 더 푸근하고 정겹다. '어느 골목에 가서 보내는 것이다'로 끝을 맺었다. ~상서, ~올림으로 끝내는 편지들은 감히 흉내 못 낼 문장이다.
**
두 번째 편지는 평남 대동군의 철도전문학교에서 근무하다가 압록강변인 자강도 만포로 후퇴하기 직전에 남편 전경섭이 황해도 서흥의 아내 김장숙에게 쓴 편지이다. 역시 10월 10일자이다.
지난 9월 22일에 보낸 당신에 편지는 반가히 바다보앗소(받아보았소). 염여(염려)하든 금전(돈)도 반가히 바다서(받아서) 사용하였다니 반갑소. 내가 금전을 9월 13일 보냇는데 10일만에 도착하고 당신의 9월 22일 보낸 편지는 10월 10일 바다보앗소. 약18일만에 왓오(왔소). 나도 엿이(역시) 꿈꿈하든(궁금하던) 차에 당신에 편지를 바닷오(받았소).
(중략) 매월 여유 있는 금전을 송부하려 하오나 우편도 잘 가지 않는 관계로서 송금치 못하고 있음니다. 그래서 인편이 있으면 엇떻게(어떻게든) 송금하려 하나 그 인편이 아직 없으며, 신막까지 가는 동무는 있으나 서흥까지 가는 동무는 없읍니다. (중략) 수일 후에 편이 있으면 송금하려 함니다. 그러나 동기 대책으로서 내복의 한 장도 없기 대문에(때문에) 시장에서 불가불 살 수바게(수밖에) 없음니다. 그리고 이불도 한 장마저 없어서 대단히 취어서(추워서) 대단히 골란(곤란) 밧고 있음니다. 혹이나 인편이 있으면 좀 송부하여 주면 조겟치마는(좋겠지마는) 그 인편이 내 생각 같아서는 아직 없을 것 갓읍니다(같습니다). 그러면 오늘은 이곳(이것)으로서 끈치겠으나(그치겠으나) 좀더 세세한 내용을 알여(알려) 주시요. 일전 신막에 약간 폭격이 있었다 하는데 서흥은 아무치(아무렇지) 않께지여(않겠지요). 1950. 10.10 전경섭 그리고 금일 10시 차에 만포 방면으로서 직장을 이전하기 위해서 출발합니다. 그곳 가서 편지하겟소. (보내는 이: 만포기관구 교통성 운전국 전경섭 / 받는 이: 황해도 서흥군 서흥면 예운리 김치섭 방 김장숙) |
남편 전경섭은 지금 평남 대동군 철도전문학교에서 근무 중이다. 교통성 운전국 소속의 학교이다. 어떤 일을 하는지는 이 편지만 봐서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전쟁의 와중에서도 운전국에서 일해 번 돈을 황해도 고향의 아내한테 부쳐주고 있다.
아내와 편지 주고받은 날짜를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을 만큼 꼼꼼한 사람이니 아내 해산 달이 언제인지 모를 리가 없다. 왜 매달 돈을 여유 있게 보내지 못하는지, 자신의 생활은 어떤지 또박또박 밝히고 있다. 말 풀어나가는 솜씨가 정갈하고 아귀가 맞는다. 가슴보다는 머리로 쓴 편지이다. 그립다느니 보고프다느니 달착지근한 말 한마디가 없다. 대신 주변 상황이 어찌 돌아가는지를 머릿속에 찬찬하게 그려놓고 있는 사람이다.
아내가 있는 고향집 황해도 서흥군은 미군의 폭격이 심했던 곳이다. 한학자 정인보가 전쟁 중 서울을 떠나 북으로 가다가 폭격에 목숨을 잃은 곳이기도 하다. 아내 사는 곳은 서흥군 서흥면이고, 남편 전경섭이 '일전에 약간의 폭격이 있었다'고 들은 곳은 이웃의 신막면이다. 공습 심한 황해도 고향집에 산달 다 된 아내를 남겨두고, 직장 따라 북으로 피난 가는 남편이 쓴 편지의 마지막 말은 '그곳 가서 편지하겠소'이다. 하지만 아내는 이 편지마저 받아보질 못했다.
<미군에 노획된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편지는 1950년 6.25전쟁 당시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 전역에서 미군에 노획된 것입니다. 미국은 이를 비밀문서로 분류해 놓았다가 1977년에 비밀을 해제하고 일반에 공개했는데요, 국내에는 극히 일부만 소개됐습니다. 미국 워싱턴 인터내셔널 센터(KISON) 선임 편집위원인 이흥환 씨는 2008년 11월 이 편지들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NARA)에서 처음 만났다고 합니다. 그는 "(비록 60여 년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수취인이나 발신인을 찾아 전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편지를 선별해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 펴냄)라는 책을 냈습니다. '도서출판 삼인' 블로그에 게시된 616통의 편지 주소를 보고 '나의 부모, 나의 형제'라고 생각되면 전화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도서출판 삼인 02-322-1845 / http://cafe.naver.com/saminbooks/) ☞ 배달 안 된 '노획 편지' 주소 확인하기 http://saminbooks.blog.me/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