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획 문서 중에는 평양중앙우체국에서 노획한 개인 편지 1200여 통도 포함되어 있다. 조선인민군에 입대한 동생이 중국 길림성(지린성) 집의 형에게 쓴 편지, 평남 안주 고향집의 아내가 '해방구'인 서울에 내려가 있는 남편에게 쓴 편지, 인민군 나간 아버지가 평남 용강 고향의 아들에게 '이제는 네가 오마니와 토론해 집안일을 다 해 나아가라'고 부탁한 편지도 있다. 고향을 떠나 자강도 만포의 직장에 가 있는 남편은 황해도 서흥의 고향집 아내에게 쓴 편지에서 '몸 풀 날이 다 되었는데 안녕하신지'를 묻는다. 편지 대부분이 전쟁 직후인 10월에 쓰인 것들이다.
<프레시안>은 10월부터 기획 특집으로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에 보관되어 있는 이 노획 편지 가운데 20여 통을 골라 10회로 나누어 소개하고, 전체 노획 편지 616통의 주소록도 새로 공개한다. 편지가 쓰인지 62년이 지났고, 미 NARA 서고에서 일반에 공개된 지 이미 35년이 흘렀다. 그 모진 세월을 용케 견뎌내고 살아남아 한 번 더 '주인'을 찾아 나선 '잊혔던 편지들'이다.
필자 이흥환은 미 워싱턴의 KISON 편집위원으로, NARA의 노획 편지들을 모아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라는 제목의 책을 엮었고, 책에 소개되지 않았던 편지들을 <프레시안>의 이 특집을 위해 다시 한번 가려 뽑고 주소록을 만들었다. 모두 616통이다.(☞관련 기사 : "미군 노획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
처자식과 함께 살던 아버지를 전쟁이 불러냈다. 인민군이 된 아버지는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는 채 부대를 따라 행군을 하다가 도중 어디에선가 집에 남아 있는 아들에게 편지를 쓴다. 행군 대열에 묻혀서 쓰는 아버지의 편지에는 힘 빠진 힘, 무력(無力)의 힘이 진하게 묻어 있다. 고향 집 아내에게 쓴 남편의 편지에서는 느낄 수 없는, 아비로서의 현실에 대한 무력감이자 생환을 통보하는 은근한 결기이다.
첫 번째 편지는 엽서이다. 평남 강서군을 출발해 평원군 어딘가로 '산 너머 들을 건너' 행군 중인 '부친'이 1950년 10월 11일 평남 남포시 한학리 인민학교의 아들에게 보냈다.
세얼은(세월은) 무정하다. 내가 집을 더난 지가(떠난 지가) 벌서(벌써) 3월이(3개월이) 지나구나(지났구나). 나는 목적지까지 도책(도착)하여 반가가에도(반갑게도 ?) 인민군대에 학격대여(합격되어) 그날 밤 7시에 목적지 평원군우로(으로) 산 너머 들을 건너 행군을 하고 있다. 정길아, 내가 승니에(승리의) 기발을(깃발을) 들고 올 대까지(때까지) 母親(모친)님과 정순이와 몸이나 건강하여 내가 도라올(돌아올) 대까지(때까지) 기다리고 있거라. 정길 어마도(엄마도) 몸조심하여 가울(가을) 추수을(추수를) 여전히 하기를 부탓하며(부탁하며) 後(후)로 片紙(편지)를 할 터이니 回答(회답)하시요.
(보내는 이: 평남 증산군으로부터, 박정길의 부친 / 받는 이: 평남 남포시 한학리 629번지 제6인민학교 박태영) |
정길, 정순의 남매를 둔 아버지이다. 집 떠나온 지 석 달째, 정길 엄마와 애들 무탈할 것과 추수를 부탁했다. 그리고 '내가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고 있으라'고만 했다. 이 아버지가 없는 동안 한학리 집은 모든 것이 멈춰 있을 것이다. 적어도 식솔을 건사하지 못한 채 집 나와 있는 아버지 입장에서는 그렇다.
아들은 아버지의 이 편지를 받지 못했다. 아버지는 돌아가 아들 앞에 다시 섰을까. 그랬다면 이 편지는 '받지 못한 편지'여도 얼마든지 괜찮다. 만에 하나 집에 돌아가지 못했다면 이 편지는, '나를 기다리라'던 아버지의 유품이 되는 셈이고, 정길 남매는 아버지가 남긴 이 편지가 있는지도 모른다.
**
편지 보내는 곳은 다르지만, 위 편지의 아버지와 비슷한 날(10월 11일) 거의 같은 장소(증산)에서 쓴 두 번째 아버지의 편지이다. 이 편지를 쓴 아버지 강원명도 신체검사에 합격하여 인민군이 되었고, 행군 중에 틈을 내 이 편지를 썼고, 집에 남겨놓은 아내와 아들딸의 안부를 묻고 있다. 그리고 이 아버지도 아내나 딸이 아닌 아들 앞으로 편지를 보냈다.
나는 집을 떠난 날 진지동 와서 신체검사에 합격되여 룡강 와서 도 동원부에서 배치받아 10월9일 저력에(저녁에) 증산리 와서 자고 10일 저력에(저녁에) 떠나 숙천으로 가는데 그리 알고, 내의 공민증 주머리를(공민증 주머니를) 집에 두고 와서 근심이니 그의 공민증을 잘 보관하여 가지고 있꺼라. 그런데 나는 이제 어디로 가게 될넌지 알 수 없으니 이제는 네가 오마니와 토론하여 가사를 잘 보와라(보아라). 그리고 가x 처리는 너의 마음대로 하게 하여라. 시간이 없어서 간단히 소식을 전하니 그리 알고 오마니 모시고 금자 데리고 쌈하지 말고 잘 있거라. 그리고 큰 네 하르바니와(너의 큰할아버지와) 잘 갔다는 말씀을 오니여라(드려라). 할 말은 이상 끈는다(끊는다), 찬화야 잘 있거라. 금자야 잘 놀거라. 나는 좁끔도(조금도) 걱정말라. 이만 철필을 논는다(놓는다). 1950년 10월 10일, 강원명 (보내는 이: 평남 강서군 증산면 오하리 부(父) 강원명 / 받는 이: 평남 룡강군 귀성면 원읍2리 모범촌 40호 사택 박준철) |
봇짐 매고 길 떠난 사람이 쓴 안부 편지 같다. 덤덤하다. 시간 없어 간단히 소식 전하니 그리 알란다. 어머니 잘 모시고, 금자하고 쌈박질하지 말란다. 전쟁이니 인민군이니 하는 말 한마디가 없다. 그러나 아버지는 어찌 될지 모르는 전쟁의 현실을 어린 아들에게 알아듣게끔 일러주고 있다.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다고 했고, 이제는 어머니와 상의해서 집안일을 끌어가라고 했다. '찬화야 잘 있거라'라는 인사말은 안 했으면 좋을 뻔했다. 다시는 집에 못 돌아갈 사람처럼 말했다. 돌아가지 못할 수도 있다는 생각도 했을까.
아니다. 집에 두고 온 공민증 잘 건사하라는 말, 돌아오겠다는 말이다. '나는 조금도 걱정말라'고 하지 않았는가.
<미군에 노획된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편지는 1950년 6.25전쟁 당시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 전역에서 미군에 노획된 것입니다. 미국은 이를 비밀문서로 분류해 놓았다가 1977년에 비밀을 해제하고 일반에 공개했는데요, 국내에는 극히 일부만 소개됐습니다. 미국 워싱턴 인터내셔널 센터(KISON) 선임 편집위원인 이흥환 씨는 2008년 11월 이 편지들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NARA)에서 처음 만났다고 합니다. 그는 "(비록 60여 년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수취인이나 발신인을 찾아 전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편지를 선별해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 펴냄)라는 책을 냈습니다. '도서출판 삼인' 블로그에 게시된 616통의 편지 주소를 보고 '나의 부모, 나의 형제'라고 생각되면 전화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도서출판 삼인 02-322-1845 / http://cafe.naver.com/saminbooks/) ☞ 배달 안 된 '노획 편지' 주소 확인하기 http://saminbooks.blog.me/140170605532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