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획 문서 중에는 평양중앙우체국에서 노획한 개인 편지 1200여 통도 포함되어 있다. 조선인민군에 입대한 동생이 중국 길림성(지린성) 집의 형에게 쓴 편지, 평남 안주 고향집의 아내가 '해방구'인 서울에 내려가 있는 남편에게 쓴 편지, 인민군 나간 아버지가 평남 용강 고향의 아들에게 '이제는 네가 오마니와 토론해 집안일을 다 해 나아가라'고 부탁한 편지도 있다. 고향을 떠나 자강도 만포의 직장에 가 있는 남편은 황해도 서흥의 고향집 아내에게 쓴 편지에서 '몸 풀 날이 다 되었는데 안녕하신지'를 묻는다. 편지 대부분이 전쟁 직후인 10월에 쓰인 것들이다.
<프레시안>은 10월부터 기획 특집으로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에 보관되어 있는 이 노획 편지 가운데 20여 통을 골라 10회로 나누어 소개하고, 전체 노획 편지 616통의 주소록도 새로 공개한다. 편지가 쓰인지 62년이 지났고, 미 NARA 서고에서 일반에 공개된 지 이미 35년이 흘렀다. 그 모진 세월을 용케 견뎌내고 살아남아 한 번 더 '주인'을 찾아 나선 '잊혔던 편지들'이다.
필자 이흥환은 미 워싱턴의 KISON 편집위원으로, NARA의 노획 편지들을 모아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라는 제목의 책을 엮었고, 책에 소개되지 않았던 편지들을 <프레시안>의 이 특집을 위해 다시 한번 가려 뽑고 주소록을 만들었다. 모두 616통이다.(☞관련 기사 : "미군 노획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
오늘 소개하는 첫 번째 편지는 '장모님 전 상서'이다. '장모님이시요'로 시작한다. 노획 편지 1,027통 가운데 사위가 장모에게 쓴 유일한 편지이다. 다른 편지도 마찬가지지만 이 편지 역시 두 번 세 번 거듭 읽게 된다. 사위가 장모에게 따로 편지를 보낼 만한 무슨 남다른 사연이 있는 것일까 싶어서이다. 인민군에 나가 있는 사위는 이 편지를 평남 대동군의 인민학교에서 썼고, 이 편지가 갔어야 할 처가는 황해도 벽성군이다. 편지 쓴 날짜는 1950년 10월 15일. 처가가 있는 황해도 벽성군은 이미 유엔군의 손에 들어가 있을 때이고, 국군과 유엔군이 평양을 탈환하기 나흘 전이다.
장모님 전 상서 장모님이시요 거간(그간) 만강이량(만강 일향)하심니까. 거리고(그리고) 집에사람도 아이를 잘 대리고(데리고) 농사에 힘써고 게심지요. 그리고 백부모님도 안녕하신지요. 거리고(그리고) 아이들도 몸겅하여(몸 건강하여) 매일갔치(매일같이) 학교에 출발하고 인넌지요(있는지요). 나도 역시 몸미던(?) 고양을(고향을) 더나(떠나) 여지까지(여태껏) 몸 건강하여 후방에서 국가와 전인민을 위하여 내 인넌(있는) 힘까지 노력하고 있써니(있으니) 가족 일동이 다 안심하여 주시요. 거리고(그리고) 나는 53x 대대에서 x수분대장어로(으로) 있써며(있으며) 촌으로만 출장만 나가댕김니다(나가 다닙니다). 나는 여지까지 인민군대에 입대하여 훌련은(훈련은) 한번도 못바다보와슴니다(못 받아보았습니다). 그래서 이 소식 한 장 전하넌 겄도(전하는 것도) 촌으로 화목(火木, 땔나무) 운반하로(운반하러) 나와서 올님니다(올립니다). 그리 아라(알아) 주시요. 그리고 한가지 부탁할 겄은 항상 가족 일동이 내 생각은 조금도 말고서 장모님을 모시고 또 아이를 잘 대리고서(데리고) 농사에 힘써주심을 부탁함니다. 거리고(그리고) 아이가 운다고 또 속상하다고 아이를 때리지 마십시요. 내가 집에 도라갈(돌아갈) 대까지(때까지) 그리하여 주시요. 나는 매일 아침에 또 저녁에 전세계를 비추어주넌(비추어 주는) 달을 보면 그리운 고양(고향) 생각 처자의 생각이 절로 나며 눈물이 절로 남니다(납니다). 나는 항상 극정은(걱정은) 저의 집에사람이 아이를 대리고(데리고) 고생하며 집 가사를 헤치까하는 건심이(근심이) 매일 가슴에 너김니다(느낍니다). 그리고 해답을 한반(한 번) 바다보면(받아 보면) 조칸넌대(좋겠는데) 군인은 은제(언제) 어너대(어느 곳에) 이동할지 모름니다. 그리 아고서(아시고) 해답은 절대 하지 마시요. 이 소식을 수자골 부모님게(부모님께) 전하여 주시요. 할 말은 태산겄더나(태산같으나) 거만(그만) 건치갔슴니다(그치겠습니다). (보내는 이 : 평남 대동군 부산면 인민학교 박창해 / 받는 이 : 황해도 벽성군 미율면 매정리 삼봉구 2반 리재옥 씨 방 박창배) |
어렵사리 쓰게 된 편지이다. 촌으로 땔나무 운반하러 나왔다가 겨우 편지 한 장을 쓴다고 했다. 그렇게 귀한 편지를 아내도 아니고 부모님도 아닌 장모님 앞으로 썼다. 처자식이 가 있는 곳의 어른이니 누구보다 먼저 인사를 드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을 수 있다. 상상은 여기까지이다. 데릴사위인지, 왜 수자골 부모님한테 안부를 대신 전해달라고 그랬는지, 아내한테는 왜 편지를 쓰지 못했는지…. 더 깊은 속사정이 어떤 것인지는 이 편지만 읽어서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히 알 수 있다. 사위가 장모한테 꼭 하고 싶은 말이다. '아이가 울어 속상한다고 해서 아이를 때리지는 말아주십시오'.
두 번째 편지는 후방에 있던 인민군 아들이 전선으로 나가기 며칠 전에 고향인 평남 순천군 밀전면 고향 집의 부모님께 쓴 편지이다. 평안도 사투리가 진득하게 묻어난다. '지금은 평양에 있지만 수일간 전방으로 나갈 듯하다'는 사람의 편지이건만 마음 졸이는 기색 하나 없고 오히려 터무니없이 오른 평양의 쌀값, 물가 걱정을 앞세우고 있다. 1950년 10월 14일 자 편지이니 이 편지 쓸 때까지만 해도 평양은 후방이었겠지만 며칠 내로 특별시 평양은 최전선이 될 아슬아슬한 판국이다.
부모님 전 상서 부모님 그간 기테후일행만안하시를(기체후일향만강하시기를) 복축이오며 가내 제절리(제절이) 다 편안하신지요. 저는 부모님 후원으로 객지에서 몸도 편안하오니 원념지덕택이웨다. 그리고 저는 지금까지는 평양에 잇지마는 수일간 전방으로 나갈 듯하오니 그리 아르소. 지금 물가는 평양에서 백미 소두에 2천8백원을 하고, 빵 한 개 오 원잣리를(짜리를) 20원식(씩)을 하니 함말맥근하오(?). 지금 전장은(전쟁은) 개성에서도 한 육칠심니를(육칠십 리를) 도탁하여 되니다(도착하였다 합니다). 저는 전방에갓지(에까지) 나가따야올(나갔다가 와야 할) 터이니 그리 알고 부모님도 걱정을 하지 말고 가사를 잘 보아주시오. 지금에 보아서는 전장이(전쟁터가) 각가와슴니다(가까왔습니다). 제가 만제번에(먼젓번에) 편지한 것도 달내하지를 아니소(다른 까닭에서 한 것이 아닙니다). 물품을 마니(많이) 타기되무네(타기 때문에) 와서 개가라고 하여지(와서 가지고 가라고 했던 것이지) 그러치 아는면(그렇지 않으면) 오란 말도 안니함니다(오란 말도 안 했을 겁니다). 전방에 나갈 적에는 다 벼리고(버리고) 가게슴니다(가겠습니다). 그리 알고 안심하시오. 도(또) 운농이랑 운봉이랑 나와는지(인민군에 나왔는지) 안 나와는지 모루게소(모르겠소). 긋(끝). (보내는 이 : 평양특별시 기림리 14인민학교 리운생 / 받는 이 : 평남 순천군 밀전면 재도4리 3구1반 부친 리두실) |
전선이 가까이 다가와 있다는 것을 리운생은 알고 있다. 수일 내에 전방으로 나갈 것 같다고 했다. 38선을 돌파한 기세로 북진 중인 국군과 미군을 저지하기 위해 평양 남쪽으로 내려갔을 수도 있고, 평양을 지키고 있다가 후퇴를 했을지도 모른다. 어떤 경우든 리운생은 '전방에까지 나갔다가 와야 할' 상황이다.
이런 처지인데도 웬걸, 리운생은 전방에 나가게 될 자신의 처지보다, 지급 받은 군용품의 여분을 다 버려야만 하는 것이 더 안타깝다. 아껴쓰고 모아두었던 군용품을 순천 고향 집에서 가져다 썼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이모저모 쓸모가 많았을 텐데. 병사이기 전에, 인민군이기 전에 '부모님 전 상서'를 쓰는 젊은이의 마음은 다 똑같을 수밖에 없다.
<미군에 노획된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편지는 1950년 6.25전쟁 당시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 전역에서 미군에 노획된 것입니다. 미국은 이를 비밀문서로 분류해 놓았다가 1977년에 비밀을 해제하고 일반에 공개했는데요, 국내에는 극히 일부만 소개됐습니다. 미국 워싱턴 인터내셔널 센터(KISON) 선임 편집위원인 이흥환 씨는 2008년 11월 이 편지들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NARA)에서 처음 만났다고 합니다. 그는 "(비록 60여 년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수취인이나 발신인을 찾아 전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편지를 선별해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 펴냄)라는 책을 냈습니다. '도서출판 삼인' 블로그에 게시된 616통의 편지 주소를 보고 '나의 부모, 나의 형제'라고 생각되면 전화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도서출판 삼인 02-322-1845 / http://cafe.naver.com/saminbooks/) ☞ 배달 안 된 '노획 편지' 주소 확인하기 http://saminbooks.blog.me/140170605532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