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획 문서 중에는 평양중앙우체국에서 노획한 개인 편지 1200여 통도 포함되어 있다. 조선인민군에 입대한 동생이 중국 길림성(지린성) 집의 형에게 쓴 편지, 평남 안주 고향집의 아내가 '해방구'인 서울에 내려가 있는 남편에게 쓴 편지, 인민군 나간 아버지가 평남 용강 고향의 아들에게 '이제는 네가 오마니와 토론해 집안일을 다 해 나아가라'고 부탁한 편지도 있다. 고향을 떠나 자강도 만포의 직장에 가 있는 남편은 황해도 서흥의 고향집 아내에게 쓴 편지에서 '몸 풀 날이 다 되었는데 안녕하신지'를 묻는다. 편지 대부분이 전쟁 직후인 10월에 쓰인 것들이다.
<프레시안>은 10월부터 기획 특집으로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에 보관되어 있는 이 노획 편지 가운데 20여 통을 골라 10회로 나누어 소개하고, 전체 노획 편지 616통의 주소록도 새로 공개한다. 편지가 쓰인지 62년이 지났고, 미 NARA 서고에서 일반에 공개된 지 이미 35년이 흘렀다. 그 모진 세월을 용케 견뎌내고 살아남아 한 번 더 '주인'을 찾아 나선 '잊혔던 편지들'이다.
필자 이흥환은 미 워싱턴의 KISON 편집위원으로, NARA의 노획 편지들을 모아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라는 제목의 책을 엮었고, 책에 소개되지 않았던 편지들을 <프레시안>의 이 특집을 위해 다시 한번 가려 뽑고 주소록을 만들었다. 모두 616통이다.(☞관련 기사 : "미군 노획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
오늘 읽을 두 통의 편지는 연서(戀書)다. 어머니나 아버지가 쓴 편지도 아니고, 아들이나 딸이 받을 편지도 아니다. 그리운 사람의 안부를 묻는 것만이 그리움을 달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인 전쟁터에서 남자가 여자에게 쓴 편지이다.
첫 번째 편지는 부상당한 인민군이 '사랑하옵는' 애인에게 쓴 것이다. 보내는 이는 평남 강서군의 문병률이라는 청년이고, 받았어야 할 사람은 평북 박천군의 홍진화라는 처자이다. 1950년 10월 8일에 썼다. 애인에 대한 말공대가 깍듯하다.
그리운 홍진화 동무에게 사랑하옵시는 당신에게 일 자의 편지 한 장을 전하려고 합니다. 세월은 물결같이 빠르기도 합니다. 현하 우리 국제 국내 정세는 대단히 복잡한 시기에 도다하고(도달하고) 있읍니다. 오렛동안 작별한 후 당신에게 일자의 서신 한 장 없이 제성(죄송)하나이다. 당신과 리별한 몇 개월 동안 당신에 소식쪼차(조차) 알지 못하여 대단히 궁금하나이다. 기간 당신의 옥체는 건강한지요. 그리고 집에 계시는 늘근(늙은) 어머니와 어린 동생들은 다 안녕하세요. 나는 당신하고 작별한 후 38연선에서 매일 놈들하고 투쟁하다가 드디어 6월25일 아침 5시에 조국과 인민이 부르는 정위에(정의의) 총검을 잡고 조국전쟁이 시작되였읍니다. 나는 전체 인민이 맡겨진 임무를 수행하든 도중에 불명에수럽게(불명예스럽게) 병환에 기대여 서울 적십자병원에 위변하게(입원하게) 댓던(됐던) 것입니다. 그러다가 9월19일에 평양으로 후송하게 되여 현재는 집으로 와 이으면서(있으면서) 따뜨한 어머님 품 안에서 치료를 받고 있싸오니 안심하세요. 그리고 한가지 말할 것은 짜믈(짬을) 리용하여(이용하여) 한번 만나지 못할까요. 할 말은 만치만(많지만) 오랄은(오늘은) 이상으로서 놋기스련(놓기 싫은) 필을 놋읍니다(놓습니다). 회답 속히 출발 오시요. 1950. 10월 8일 문병률 (보내는 이 : 평남 강서군 적송면 석2리 영명동 문병률 / 받는 이 : 평북 박천군 덕안면 남1일(남오동) 홍영진(진화)) |
전쟁에 나간 후로 처음 쓰는 편지이다. 남으로 내려왔다가 부상을 당한 모양이다. 서울 적십자병원에 입원했다가 북으로 후송되었고, 지금은 집에 돌아가 있다. 어디를 얼마나 다쳤는지는 굳이 밝히지 않았다.'한번 만났으면 좋겠다'는 말이 하고 싶었다.'놓기 싫은 필(筆)을 놓는' 마음, 굳이 밝히지 않더라도 고스란히 전해진다.
노모와 어린 동생과 같이 살고 있는'그리운 홍진화 동무'는 이 편지를 받지 못했다. 편지를 받았더라도 전운(戰雲)이 38선을 넘어 북으로 휘몰려 가고 있을 때이니
애인이 있는 평남 강서의 남행길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회답 속히 출발 오시요'라고 편지 끝에 간곡히 부탁은 했으나'진화 동무'는 이 편지에 끝내 회답을 보내지 못했다.
**
두 번째 연서는 집에서 오마니를 모시고 있는 색시한테 쓴 편지이다. 보낸 이의 평남 룡강군 해운면 리연리 주소가 편지 겉봉에 쓰여 있긴 하나, 편지를 쓴 인민군 백기백은 '어디로 가는지 모를'곳으로 이미 행군을 떠난 후이다. 편지 쓴 날짜가 1950년 10월 6일이니 밀려 후퇴하는 길이 틀림없다.
가처 주 전 상서
그리고 부탁할 말은 북지 있는 아버지을(아버지를) 다러다가(데려다가) 집에 일을 하기로 하시요. 처의 병은 약을 써서 빨리 곳치도록(고치도록) 하시요. 끝으로 오마니와 색씨는 나의 근심은 조금도 마시고 집에 일에(집일을) 잘 해달나는(해달라는) 것을 말하면서 몸 건강하시기를 바람니다. 어데로 가든지 도착하난 시에는 편지하겠습니다. 나는 이저는(이제는) 조국과 인민을 위하여 동원된 몸이니만치(몸이니만큼) 승리에(승리의) 자신심을 가지고 피 한방울도 아끼지 않고 싸우겠습니다. 할 말은 많으나 떠나가면서 이만 끝. 1950년 10월 6일 정오, 백기백 쉰사로(?) 지금 추수에 매우 수고하겠습니다. (보내는 이 : 평남 룡강군 해운면 리연리에서 백기백, 받는 이 : 평북 운산군 운산면 조양하리 11반 백기백 본댁) |
새색시는 병을 얻은 몸이다. 그런 색시를 집에 떼어두고 군에 나왔다. 한 달이 채 안 됐지만 색시 생각 안 한 날이 없었다. 이런 그리움을 그리웠다, 보고 싶다 이렇게 대놓고 말 못하고 '내 생각도 많이 하였을 것'이라고 돌려 말한다. 사랑한다, 그립다 고백해야만 연서는 아니다. 고백하지 못했어도, 고백이 서툴러도 사랑이 느껴지고 그리움이 전해지면 그게 연서다.'어데로 가든지 도착하면 편지하겠다'고 글로 약속하는 게 연서다.
<미군에 노획된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편지는 1950년 6.25전쟁 당시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 전역에서 미군에 노획된 것입니다. 미국은 이를 비밀문서로 분류해 놓았다가 1977년에 비밀을 해제하고 일반에 공개했는데요, 국내에는 극히 일부만 소개됐습니다. 미국 워싱턴 인터내셔널 센터(KISON) 선임 편집위원인 이흥환 씨는 2008년 11월 이 편지들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NARA)에서 처음 만났다고 합니다. 그는 "(비록 60여 년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수취인이나 발신인을 찾아 전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편지를 선별해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 펴냄)라는 책을 냈습니다. '도서출판 삼인' 블로그에 게시된 616통의 편지 주소를 보고 '나의 부모, 나의 형제'라고 생각되면 전화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도서출판 삼인 02-322-1845 / http://cafe.naver.com/saminbooks/) ☞ 배달 안 된 '노획 편지' 주소 확인하기 http://saminbooks.blog.me/140170605532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