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제가 부탁했던 쯔봉(바지)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제가 부탁했던 쯔봉(바지)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배달 안 된 '노획 편지']<10> '부친님 전 상서' '어머니 전 상서'

전쟁이 남기는 건 핏물 밴 총칼만이 아니다. 전쟁은 숱한 사연도 남긴다. 살아남은 자들이 가슴에 묻어놓은 사연도 있지만, 글로 남겨진 사연도 있다. 전쟁이 쓴 편지, 전쟁이 남긴 편지도 그런 기록 가운데 하나이다. 1950년 한국전 당시 미군은 북한 점령지에서 북한의 공문서를 포함해 적지 않은 양의 '북의 기록'을 노획했다. 전리품이었다. 이 노획 문서들은 도쿄의 연합군 극동군사령부를 거쳐 미 워싱턴의 연방기록물 보관소로 이관되었다.

이 노획 문서 중에는 평양중앙우체국에서 노획한 개인 편지 1200여 통도 포함되어 있다. 조선인민군에 입대한 동생이 중국 길림성(지린성) 집의 형에게 쓴 편지, 평남 안주 고향집의 아내가 '해방구'인 서울에 내려가 있는 남편에게 쓴 편지, 인민군 나간 아버지가 평남 용강 고향의 아들에게 '이제는 네가 오마니와 토론해 집안일을 다 해 나아가라'고 부탁한 편지도 있다. 고향을 떠나 자강도 만포의 직장에 가 있는 남편은 황해도 서흥의 고향집 아내에게 쓴 편지에서 '몸 풀 날이 다 되었는데 안녕하신지'를 묻는다. 편지 대부분이 전쟁 직후인 10월에 쓰인 것들이다.

<프레시안>은 10월부터 기획 특집으로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에 보관되어 있는 이 노획 편지 가운데 20여 통을 골라 10회로 나누어 소개하고, 전체 노획 편지 616통의 주소록도 새로 공개한다. 편지가 쓰인지 62년이 지났고, 미 NARA 서고에서 일반에 공개된 지 이미 35년이 흘렀다. 그 모진 세월을 용케 견뎌내고 살아남아 한 번 더 '주인'을 찾아 나선 '잊혔던 편지들'이다.

필자 이흥환은 미 워싱턴의 KISON 편집위원으로, NARA의 노획 편지들을 모아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라는 제목의 책을 엮었고, 책에 소개되지 않았던 편지들을 <프레시안>의 이 특집을 위해 다시 한번 가려 뽑고 주소록을 만들었다. 모두 616통이다.(☞관련 기사 : "미군 노획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배달 안 된 노획편지'의 연재 마지막 10회분은 아버지와 어머니 앞으로 보낸 두 통의 짤막한, 아들 편지이다. 첫 번째 편지는 평남 순천군 사인면의 사인중학교에 다니는 아들 홍성범이 평양시에 사는 아버지에게 1950년 10월 2일에 쓴 것이고, 두 번째 편지는 평남 강동군에 가 있는 아들 구충택이 1950년 8월 18일에 경기도 고양군 집의 어머니한테 쓴 것이다.

노획 편지 중에는 다른 어떤 편지보다 아들이 아버지나 어머니한테 쓴 것이 많다. 편지라는 것이 글을 쓸 줄 알거나 글에 익숙한 이가 먼저 말 붙이기 마련인 탓도 있고, 아랫사람이 먼저 어른의 안부를 여쭌다는 관습 탓일 수도 있다.

아버지한테 쓰는 편지와 어머니한테 쓰는 편지는 분위기부터가 다르다. '부친님 전 상서'에는 '어머님 전 상서'에서보다 의젓함이 많이 담겨 있지만, 그런 만큼 의외로 어리광도 꽤 들어 있고 은근한 응석도 배어 있다. 필요한 물건이나 돈 좀 보내달라는 아쉬운 소리도 아버지한테는 곧잘 한다.

어머니한테는 훨씬 더 어른티를 낸다. 집안 걱정도 더 하고, 집안일 단속하는 잔소리도 서슴지 않는다. 전쟁 끝내고 집에 꼭 살아 돌아가겠다는 자신만만한 언약도 어머니한테 보내는 편지에 더 많이 등장한다.

오늘 읽을 편지에는 덧붙이는 설명을 달지 않았다. 자식이 부모님께 올린 마지막 편지 두 통은 덧 글 없이 편지 자체만 읽는 것이 낫겠다 싶었다.

'배달 안 된 노획편지'는 모두 스무 통의 편지를 소개했다. 인민군 남편이 고향의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를 시작으로, 북의 아들이 해방구 남한에 가 있는 아버지에게 쓴 편지, '배고프면 돈 아끼지 말고 먹을 것 사 먹으라'고 당부하면서 고향의 아버지가 인민군 군대에 간 아들에게 쓴 편지… 사연이 많기도 했다. 인민군에 나간 아버지는 고향 집의 아들에게 '나 돌아올 때까지 모친님 잘 모시고 있을 것'과 '이제 집안일은 오마니와 상의해서 네가 꾸려나갈 것'을 편지에서 단단히 부탁했다. '할 말은 많으나 놓기 싫은 필(筆)을 놓는다'는 애틋한 연서(戀書)도 읽었다.

하지만 정작 이 편지들을 받아 읽었어야 할 사람들은 읽지 못했다. '배달 안 된 편지''노획편지'라는 이름으로, 60여 년이 지난 다음에야, '뜯어봐서는 안 될 사람'들이 읽게 되었다. 편지 읽은 값은 치러야 한다. 늦었으나, 더 늦기 전에 편지를 주인한테 돌려줘야 한다. 주인을 찾지 못하면 버젓하게 영구본 자료집으로라도 묶어서 건사라도 잘해두어야 하고, 그마저 어려우면 전쟁통에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한 편지가 있다는 사실만이라도 기억해두어야 한다. 그만한 값도 치르지 않는다면 역사에 눈가리개를 덮어씌우는 일이다. 역사의 두 눈을 부릅뜨게 만들기는 어렵지만, 역사를 눈멀게 만들기는 손바닥 뒤집듯 쉽다.

부친님 전 상서

▲ "부친님 전 상서" ⓒ국립중앙도서관
그간 만수무강하십니까? 오래동안 가깝하든 중(갑갑하던 중) 오늘 비로소 아버님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그간 자식 걱정도 많이 하신 모양입니다. 염려하시는 은덕으로 전과 다름없는 생활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안심하십시오! (중략)

성환이 동생의 소식은 아주 무소식입니다. 아마도 전선으로 출동한 것 같습니다. 사인장(지명, 평남 순천군 사인장)도 매일 수십번 적의 비행기가 래습하여 폭탄 기총사격을 가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평양보다 심한 것만 같습니다. 아버님은 항상 자식의 근심을 하나 자식으로써 소식 한 장 전하지 못하여 매우 미안합니다. 교통상 불편으로 한번 가볼까 하였기 때문에 엽때까지(여태까지) 소식을 전하지 못하였습니다.

아버님과 작별한지도 2개월이 경과하였습니다. 오늘은 10월2일, 마즈막 가을을 맞이하였습니다. 논과 산에는 낙엽이 바람에 날리어 학교의 뜰을 더러피고(더럽히고) 있습니다. 황해도 할머님도 지금은 어떻게 하고 계시는지 소식 없어 매우 갑갑합니다. 소식 아르시면(아시면) 전하여 주시오. (중략)

그리고 제가 부탁하였던 쯔벙('바지'의 일본말)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겨울도 가까와 의복 준비도 하여야 하겠습니다. 될 수 있으면 빨리 보내주시오! 염색할 수 없으면 그대로 보내주시오! 기회를 보시고 한 번 올 수 있으면 오십시오!

1950.10. 2 홍성범

(보내는 이 : 평남 순천군 사인면 사인중학교 홍성범 / 받는 이 : 평양특별시 상흥리 21번지 11구1반 김선익)

어머님 전 상서

▲ "어머님 전 상서" ⓒ국립중앙도서관
어머님 그간 옥체만안하시며 누님과 종훈도 다 편안합니까? 저는 몸 건강히 훈련 잘 받고 있으니 안심하십시요. 이곳 생활은 규측적이며(규칙적이며) 아주 자미(재미) 있습니다. 그곳은 요점(요즘) 어떻게 생게를(생계를) 하여 나가십니까? 물론 곤란을 받어시겠지요. 그러나 어머님 이것은 잘 극복하여 나가셔야 할 것입니다. 지금 시국이 시국이니만치 잘 극복하여 나아가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어머님 침략자 미제를 이 강토에서 물리칠 날도 몇일 남지 않았습니다. 그때 다시 반가히 만납시다. 그리고 혜화동 댁과 신설동은 다 편안합니까. 그리고 협천은 해방되었다지요. 고향 소식이 있는지요?

어머님 요번은 이만 끝이고(그치고) 다음으로 미루겠습니다. 부디 안심하십시요. 편지는 봉투에 쓰인 대로 하시면 될 것입니다. 내내 옥체 안녕히. 누님도 종훈이도.

1950.8.18 小子(소자) 충택 上書(상서)

(보내는 이 : 평남 강동군 원탄면 고비리 우편함 구충택 / 받는 이 :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미아리 7구533-17 구종순)

<미군에 노획된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8964360435#}
▲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이흥환 엮음, 도서출판 삼인 펴냄) ⓒ삼인
한국전쟁 때 미군에 노획된 편지의 주인을 찾습니다.

편지는 1950년 6.25전쟁 당시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 전역에서 미군에 노획된 것입니다. 미국은 이를 비밀문서로 분류해 놓았다가 1977년에 비밀을 해제하고 일반에 공개했는데요, 국내에는 극히 일부만 소개됐습니다.

미국 워싱턴 인터내셔널 센터(KISON) 선임 편집위원인 이흥환 씨는 2008년 11월 이 편지들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NARA)에서 처음 만났다고 합니다. 그는 "(비록 60여 년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수취인이나 발신인을 찾아 전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편지를 선별해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 펴냄)라는 책을 냈습니다.

'도서출판 삼인' 블로그에 게시된 616통의 편지 주소를 보고 '나의 부모, 나의 형제'라고 생각되면 전화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도서출판 삼인 02-322-1845 / http://cafe.naver.com/saminbooks/)

☞ 배달 안 된 '노획 편지' 주소 확인하기
http://saminbooks.blog.me/140170605532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