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01일 17시 14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한국을 중동 전쟁의 들러리로 세우려 하나
[이제는 평화] UAE '유사시 자동개입' 조항의 위험성
이명박 정부가 아랍에미리트(UAE)와 맺은 비밀 군사협정, 핵발전소 수출 관련 의혹이 사실로 드러났다. 철저한 진상조사와 책임자 처벌이 이루어져 마땅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정부와 국회는 '국익'이란 명분 아래 중대한 헌법 위반 행위를 봉합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는 3회에 걸쳐 UAE 사태의 문제점을 다룬다. 이명박 정권 시절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
예수가 부활한다면 트럼프에 어떤 꾸지람을 할까
[이제는 평화] 중동에 먹구름 드리운 트럼프의 친이스라엘 일방주의
해마다 원유의 85% 가량을 중동 지역에서 들여오는 한국에게 중동의 정세 불안은 좋은 소식이 아니다. 중동의 정세 불안은 유가 상승이란 악재를 낳기 마련이다. 최근 "예루살렘으로 미 대사관을 옮기겠다"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발언이 큰 파문을 일으키면서 중동 정세가 악화되는 모습이다. 미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긴다는 것은 곧 이스라엘이 주장하듯이 정식 수도
'화약고' 동아시아, 군비 지출 10년간 74% 늘었다
[김재명의 '월드 포커스'] SIPRI 2016년 세계 군사비 동향 보고서
스웨덴의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는 국제분쟁과 평화, 군사 안보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싱크 탱크이다. 해마다 5, 6월쯤 SIPRI는 군비 · 군축 · 국제안보라는 이름의 두툼한 연감(yearbook)을 펴내왔다. 이 연감에는 지구촌의 여러 분쟁지역, 전 세계 국방비 지출과 무기수출 현황, 핵무기와 군비 축소 등을 비롯한 여러 군사 관련
'이스라엘 축제' 이후, '대재앙' 일어났다
[김재명의 월드포커스] 팔레스타인의 '나크바'는 언제 끝나려나
해마다 5월이 오면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이엔 긴장감 속에 불편한 기류가 흐른다.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독립선언을 기린다는 명분 아래 5월 초부터 이스라엘 곳곳에서 여러 이름의 행사들을 가진다. 음악회나 댄스파티가 열리고 시가행진도 벌이면서 축제 분위기로 떠들썩하다. 독립선언 67주년을 맞는 올해도 조용히 넘어가는 분위기는 아니다. 유대인들의 축
아베 총리, 고토의 죽음을 기다렸나?
[김재명의 월드포커스] '경찰권' 내세워 자위대 파병 길 트려는 일본 우파
일본 언론인 고토 겐지((後藤健二, 47)의 비참한 죽음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반미-반이스라엘의 기치를 든 이슬람 원리주의 수니파 준 국가조직인 이슬람국가(IS)에게 고토가 끝내 목이 잘리는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자, 전 세계는 충격과 슬픔에 빠졌다. 인질로 잡혀 있던 또 다른 일본인 인질 유카와 하루나(湯川遙菜, 42)를 참수했다고 밝힌 지 꼭 8
이슬람 모독과 테러, 정치적 이용의 악순환
[김재명의 월드포커스] 제2, 제3의 프랑스 테러 막으려면…
오늘날 지구촌 어느 곳에서든 날마다 유혈 사태가 벌어진다. 국가 사이의 전쟁, 내전, 테러 등으로 지구촌은 유혈의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테러 위협으로 많은 사람들이 불안에 떤다. 테러 가능성 탓에 비행기 일정이 취소되고 은행과 대사관이 문을 닫기도 한다. 테러리즘은 어느덧 21세기 국제 정치의 화두 가운데 하나로 떠오른 모습이다.지난 1월 7일 프랑스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 성공회대 겸임교수, 프레시안 기획위원
미국의 시리아 공습, 누가 웃는가?
[김재명의 월드 포커스] 이스라엘과 시리아 독재정권이 최대 수혜자
2011년 아랍의 봄이 쓰나미처럼 시리아로 몰려든 뒤, 인구 1800 만의 시리아는 엄청난 내전의 불길에 휩싸였다.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 사이에 벌어져 온 3년 반 동안의 내전에서 사망자만도 20만 명을 넘어섰다. 국제사회에서 시리아의 내전을 끝장내고 평화와 안정을 가져다주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지만, 21세기 초강대국 미국은 이렇다 할 노력을 기울이지
이스라엘 전쟁범죄 '기권표' 던진 박근혜 정부
[김재명의 월드 포커스] 북한 인권 떠들면서 팔레스타인 인권 외면
가뜩이나 불쾌지수가 놓은 올여름, 팔레스타인을 겨냥한 이스라엘의 군사적 행동은 불쾌지수를 더욱 높이는 중이다. 지난 6월 유대인 청소년 3명이 누군가에게 피살된 것을 빌미로 아무런 증거도 없이 팔레스타인의 반이스라엘 투쟁집단인 하마스(Hamas)를 '테러리스트'로 몰아붙이면서 학살행위를 저지르고 있다.7월 7일부터 시작된 이스라엘군의 공습과 7월 17일의
자기모순에 빠진 사우디와 이란의 대리전쟁
[김재명의 월드 포커스] 시리아내전, 왜 이리 오래 끌까(하)
시리아 전쟁의 성격은 내전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시리아 주변 국가들이 저마다의 이해관계로 개입하는 대리전 양상을 보인다. 시리아내전은 중동의 해묵은 시아-수니 종파 간의 갈등을 부추겨 왔다. 그 배경에는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시아파 종주국인 이란과의 오랜 갈등이 깔려있다.사우디를 비롯한 걸프 지역의 석유 왕국들은 시리아내전을 이란을 상대로 대리
시리아, 3년째 '아랍의 겨울'…미국은 왜?
[김재명의 월드 포커스] 시리아 내전, 왜 이리 오래 끌까(상)
2011년부터 불어 닥친 ‘아랍의 봄’은 대부분의 중동국가들에겐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지역의 비민주 국가들에게 ‘아랍의 봄’은 아직 멀어만 보인다. 오히려 일부 국가는 정치발전에서 뒷걸음질쳤다. 이집트에선 민주적 선거절차를 거쳐 뽑힌 문민정부가 군부 쿠데타(2013년 7월)로 넘어졌다. 이집트 군부는 아랍의 봄을 ‘아랍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