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11월 01일 21시 3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지원금 상향보다는 교육불평등 해결이 시급하다
[유보통합을 말하다]
2021년 2월 첫째 딸을, 2022년 10월 둘째 딸을 출산했다. 첫째를 출산한 이후 대선을 치뤘고, 유보통합이 여야 대통령선거 후보의 공약으로 채택되는 것을 지켜보았다. 둘째를 출산한 이후 새 정부가 유보통합의 닻을 올리고 본격적으로 추진해가는 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행정부처와 관련 법이 이원화되어 있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많은 문
정지현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공동대표
2023.08.10 15:52:36
교육받을 권리는 어느 곳에 살던지 차별없이 보장받아야 한다
[유보통합을 말하다] 유보통합 실현을 위한 한꼭지, 교사 양성과정 및 자격제도
박근혜 정부 이후 중단되었던 유보통합이 윤석열정부의 국정과제인 '국가교육책임제 강화'에 따라 유아의 교육격차를 줄이고자 유보통합이 다시 추진되고 있다. 단계적 유보통합 추진과정에서 교사 양성과정 및 자격제도에 대한 관련학계와 현직교사와 기관에서의 다양한 문제제기와 혹은 우려와 저항이 나타나고 있다. 유보통합이 논의 30년 만에 모처럼 의욕적으로 추진중인 유
김윤태 우석대 교수
2023.08.07 13:11:30
새로운 영유아 학교 체제로의 대전환을 이뤄야 한다
[유보통합을 말하다] 유보통합, 함께 가는 험난한 여정에서
한 해에 태어나는 아이들이 25만명도 채 안되는 극심한 인구재앙 상황으로 인해 바로 지금이야말로 새로운 영유아학교’체제를 구축해야하는 유보통합의 마지노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점에서 조차 우리 사회가 유보통합의 시대적 과제를 방기할 경우 국공립, 민간, 사립, 가정 할 것 없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기반이 무너져 내리게 될
임재택 부산대 유아교육학과 명예교수
2023.08.01 11:07:41
행복한 아이 한 명 한 명이 온 나라를 행복하게 한다
[유보통합을말하다] 영유아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유보통합
유보통합이라는 큰 틀의 변화와 함께 영유아의 권리를 보장하고 증진 시키기 위한 변화의 내용은 무엇이며, 유보통합을 통해 우리 사회가 함께 이루어내야 하는 공공선은 무엇일까? 영유아의 차별 없는 권리 보장을 위한 유보통합 2005년 평가인증이 처음 실시 된 이후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제정을 통해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기준이 통합적으로 마련
김영명 아이들이행복한세상 대표
2023.07.27 09:11:57
유보통합, '할지, 말지' 아닌 '어떻게 할까?' 물어야
수능 고난이도 문항을 없애라는 대통령의 지시에 온 나라가 떠들썩하다. 용산발 수능 사태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나고 수능이 4개월밖에 남지 않았는데 여전히 갑론을박이다. 국정과제에도 없었던 대통령의 수능 관련 발언 하나에 교육부 조직이 흔들리고 교육과정평가원장이 사임하고 모든 이슈가 수능으로 덮이는 상황을 보면 대입이 우리 사회에 차지하는 비중을 실감할
이윤경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회장
2023.07.21 13:24:20
1만명 넘는 장애영유아는 어떻게 할 것인가
[유보통합을 말하다] 장애영유아 교사 자격 통합 방안 모색
우리나라 최초로 장애영유아를 보육하기 시작한 어린이집은 1985년 개원한 대구 요한바오로2세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이며, 최초로 사범대학에 유아특수교육과를 설치하여 2000년에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한 기관은 대구대학교였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해 볼 때, 전문어린이집에서 장애영유아 보육을 시작한 시기와 유아특수교사 배출 시기 간에는 15년이라는 시간적 간격이 있
권영화 장애영유아보육·교육정상화추진연대 상임공동대표
2023.07.18 15:55:16
내 아이가 행복할 수 있는 환경은?
[유보통합을 말하다] 학부모가 바라는 영유아 중심의 유보통합
나는 지금 7살인 아이를 키우고 있다. 맞벌이 부모이기에 13개월부터 기관 생활을 시작한 아이는 영아 전담 민간어린이집과 가정어린이집을 거쳤고 지금은 사립유치원을 다니고 있다. 기관을 옮기는 일은 늘 전쟁이었다. 아이가 태어나고, 어린이집에 대기를 걸어야 할 때 주변에서는 대기가 길어도 일단 국공립어린이집에 대기를 넣어보라고 이야기했다. 대기가 너무 길어
최현주 영유아 부모
2023.07.13 16:06:28
보육과 교육의 장점만 검증되고 통합되는 교사 자격제도가 필요하다
유아교육에 적용되는 공교육의 개념은 '국가나 지방, 공공 단체 등에 의해 관리되고, 사회전체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국민 전체에게 공유되고, 세금에 의해 유지되는 교육이며, 국민이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교육'으로 정의할 수 있다. 2023년 6월 현재 '유보통합'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이원화된 제도로 인한 장애영유아의 교육적 차별에 대한 문제를
오미나 곰두리어린이집 원장
2023.07.10 14:22:38
170만 영유아의 6년 학제를 새로 만드는 일
[유보통합을 말하다] 유보통합을 시급하게 해야 할 이유와 방식에 대하여
지금 대한민국 영유아교육.보육체계가 무너지고 있다 지난 6월6일자 부산일보 보도에 따르면 ‘50년된 국공립어린이집이 원아모집이 안되었다는 이유로 문을 닫았는데, 다니고 있던 영유아들은 해당 지역에 어린이집이 없어서 다른 구로 옮겨서 다니고 있다’고 한다. 이런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페원기사가 줄을 잇고 있다. 3월 한 달 동안 포털에 실린 이런 기사만 40
송대헌 전 세종교육감 비서실장
2023.07.07 13:29:53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왜 교육부로 통합하는가?
[유보통합을 말하다] 유보통합의 본질은 영유아중심 유아교육의 실현
교육부는 지난 1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영유아 중심의 질 높은 새로운 교육·돌봄 체계 마련을 위한 유보통합 추진"을 하겠다고 발표했다. 유보통합 추진의 방점이 어디에 있는가를 명확히 한 발언으로 핵심은 "영유아 중심", "질 높은 교육·돌봄"에 있다. 유보통합의 목적을 명확히 전제한 상황에서 지난 4월 10일, 교육부는 '제 3차 유아교육발전 기본계획
김명하 안산대 유아교육과 교수
2023.04.21 10:4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