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11월 01일 21시 3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일곱 가지로 짚어본 유보통합의 쟁점
[유보통합을 말하다] 유아교육계와 보육계의 해묵은 과제
유아교육과 보육을 통합하는 유보통합이 연일 화두다. 윤석열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고 보육계의 요구를 유아교육계에서 수용하는 모양새를 띄어 유보통합을 위한 분위기는 무르익었다고 보이는데, 현재까지의 진행상황과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아직까지 모호하며 관계자들마다 주고받는 내용이 다르다. 유아교육계와 보육계에서 유보통합과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
김대욱 경상국립대 유아교육과 부교수
2023.04.12 14:28:49
질적인 교사를 양성하는데 유보통합이 필요하다
[유보통합을 말하다]
정부는 2025년 시행을 목표로 '유보통합'과 관련해 현장, 학계, 부모등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교육부는 새로운 통합기관의 핵심인 교사, 교육과정, 시설‧설립 기준등을 유보통합추진위원회와 자문단 등을 중심으로 현장과 충분히 소통해, 최적의 대안을 마련한다고 하였다. 유보통합의 내용은 유치원·어린이집 간의 격차 완화를 위한 교사 전
이정아 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2023.04.05 17:32:47
현재의 저출산, 인구감소 문제 해결하는 '단초'
[유토통합을 말하다] 진정한 대한민국 영유아의 행복은
2023년 2월에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OECD 평균 출산율 1.59명의 OECD 평균의 50%도 안 되는 수치로 세계 최저의 기록을 매해 경신하고 있다. 이런 인구감소로 인한 사회적 변화는 하루가 다르게 체감되고 있다. 가장 최근 발표된 교육통계와 보육통계를 살펴보면 유치원 기관수는 2017년 9026개원을 정점으로 빠르게
허수향 송곡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2023.03.29 15:05:44
유보통합, 비정상을 정상으로 바꾸는 길
[유보통합을 말하다] 30년 이어온 유보통합 논의, 결실 마주하고 있다
비정상이 난무하는 세상이지만 특히 장애유아의무교육은 출발부터 비정상이었다.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제정 당시부터 장애유아의무교육을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와 역할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마련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출발했다. 장애유아에 대한 의무교육 시행을 위한 제반 여건을 갖추지 못한 채 출발한 장애유아 의무교육은 시행부터 문제를 낳을 수밖
김윤태 우석대학교 교수
2023.03.22 06:16:16
아이들 사이 갈등 발생시 교사가 사용하는 네 단계 방법
[유보통합을 말하다] 유보통합에 대한 브레인스토밍
교육부가 영유아들의 발달 격차를 해소하고 부모들의 교육 부담을 덜기 위해 '유보(유아교육+보육)통합'을 본격 추진해 오는 2025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이원화 된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합해 하나의 교육기관으로 만들고 질 높은 보육·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반면, 공립유치원 교사들 중심으로 통합 반대 목소리가 커지는 모양새다. 교원단체 반발의 핵
강정원 한국성서대학교 교수
2023.03.14 17:10:34
유보통합의 본질적 목적은 영유아여야 한다
[유보통합을 말한다] 영유아학교체제 기반 유보통합을 바라며
고영미 (사)한국유아교육학회부회장
2023.03.08 13:56:09
이번엔 유보통합 꼭 이뤄 봅시다
[유보통합을 말하다] 유보통합, 더이상 미룰 수 없다
손혜숙 한국전문대학교유아교육과교수협의회 회장
2023.03.02 08:34:18
한국은 영유아 행복을 지원하는 복지선진국인가
[유보통합을 말한다] 영유아, 부모, 교사가 행복할 수 있는 유보통합을 기대하며
양진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장
2023.02.22 14:04:16
이원화된 체제로 가장 피해받는 대상은 영유아들이다
[유보통합을 말한다] 출발선 평등과 행복한 삶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정정희 (사)한국유아교육학회장
2023.02.15 06: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