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6.27 대책을 발표한 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5억 원 미만 아파트 거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세계일보>는 6.27 대책 이후 전체 아파트 거래에서 5억 원 이하 아파트 비중은 40.1%에서 50.4%로 10.3%포인트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반면 10억 원 초과 고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23.9%에서 12.1%로 주저앉았다.
다만 고가 아파트 매매가는 거래량과 무관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10억 원 초과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이 기간 2.8% 상승했다.
반면 매매량이 늘어난 5억 원 이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0.9% 상승하는 데 그쳤고 5억 원~10억 원 구간 아파트 매매가도 0.9% 상승했다.
이처럼 매매량과 매매가가 상반된 모습을 보이는 이유에는 유효 수요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대출을 끌어와야 고가 아파트를 살 수 있는 한계 수요자가 6.27 대책의 영향으로 대출을 끌어오지 못하자, 현금 동원 능력이 큰 부자들이 조정기를 기회로 고가 아파트 거래에 나선 모습이다.
반면 대출 동원 능력에 한계가 있는 유효 수요자들이 중저가 아파트 매매에 나섰으나 가격 상승 기대감이 작아 거래량과 무관하게 평균 매매가 상승에는 한계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의 10억 원 초과 고가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이 기간 3.6%나 상승했다. 거래량이 줄어들었음에도 가격 상승세는 더 뚜렷해졌다. 반면 경기도는 0.5% 상승에 그쳤고 인천의 경우 오히려 6.1% 하락했다.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과 다른 지역 간 차별화가 뚜렷이 나타났다.
서울에서도 특히 상승세를 보인 고가 아파트는 30년 이상 된 노후 단지였다. 6.27 대책 후 서울에서 30년이 넘은 노후 아파트 중 10억 원 초과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7.3%나 올랐다. 재건축 규제 완화 기대감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관련해 신문은 '한 부동산 시장 전문가'를 인용해 "대출 규제로 인해 실수요자는 저가 주택에 몰리고, 자산가들은 재건축 기대감이 큰 서울 노후 단지에 투자하면서 '쏠림 현상'과 양극화가 동시에 심화하고 있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