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실효성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오세훈 서울시장 주도 한강버스 사업을 두고 "제2의 수상택시와 같이 치적용 정치쇼 전철을 밟으며 '혈세버스'로 전락하는 것 아닌가"라고 맹비난했다.
한 의장은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국감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졸속으로 추진된 한강버스의 민낯이 국정감사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오 시장은 이미 2007년 시행된 한강 수상택시로 매년 5~7억 원 적자를 내며 혈세를 낭비한 바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의장은 "20일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서 오 시장의 한강버스 운행 중단이 예견된 것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됐다"며 "한강버스에 투입된 자금의 약 69%는 서울시가 조달하고 민간 투자 금액은 2.8%에 불과한 비정상적 구조로 민간 특혜 의혹도 불거졌다"고 했다.
한 의장은 "한강택시의 경우 폐지하기 전 3년 동안 한강택시를 사용한 인원은 100명이었다"며 "서울시가 추산했던 하루 사용자는 2만 명이었는데 거기엔 한참 미달한 수준"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민주당은 서울시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한강버스 관련된 의혹을 진상규명하고, 또한 진상규명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예고했다.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 시장의 한강버스 사업이 서울시장 선거 쟁점으로 떠오를지 관심이 모인다.
한편 한 의장은 정부의 한미 관세협상 후속협의 상황과 관련해선 "3500억 달러 규모의 금융패키지와 관련해 다수 쟁점에 대해 상당 부분 진전을 도출한 걸로 안다"며 "정부는 국익최우선 원칙 하에 상호호혜적 결과가 도출되도록 끝까지 최선 다 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 의장은 특히 "양국 간에 논의되고 있는 금융패키지는 한미동맹 강화와 양국 제조업 부흥이란 공동 목표 하에, 우리가 감내 가능한 수준에서 합의가 도출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