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획 문서 중에는 평양중앙우체국에서 노획한 개인 편지 1200여 통도 포함되어 있다. 조선인민군에 입대한 동생이 중국 길림성(지린성) 집의 형에게 쓴 편지, 평남 안주 고향집의 아내가 '해방구'인 서울에 내려가 있는 남편에게 쓴 편지, 인민군 나간 아버지가 평남 용강 고향의 아들에게 '이제는 네가 오마니와 토론해 집안일을 다 해 나아가라'고 부탁한 편지도 있다. 고향을 떠나 자강도 만포의 직장에 가 있는 남편은 황해도 서흥의 고향집 아내에게 쓴 편지에서 '몸 풀 날이 다 되었는데 안녕하신지'를 묻는다. 편지 대부분이 전쟁 직후인 10월에 쓰인 것들이다.
<프레시안>은 10월부터 기획 특집으로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에 보관되어 있는 이 노획 편지 가운데 20여 통을 골라 10회로 나누어 소개하고, 전체 노획 편지 616통의 주소록도 새로 공개한다. 편지가 쓰인지 62년이 지났고, 미 NARA 서고에서 일반에 공개된 지 이미 35년이 흘렀다. 그 모진 세월을 용케 견뎌내고 살아남아 한 번 더 '주인'을 찾아 나선 '잊혔던 편지들'이다.
필자 이흥환은 미 워싱턴의 KISON 편집위원으로, NARA의 노획 편지들을 모아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라는 제목의 책을 엮었고, 책에 소개되지 않았던 편지들을 <프레시안>의 이 특집을 위해 다시 한번 가려 뽑고 주소록을 만들었다. 모두 616통이다.(☞관련 기사 : "미군 노획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
오늘 읽을 노획 편지는 한국전 당시 서울 성북구 돈암동 살던 김씨 댁 이야기로 시작한다. 이 댁에는 '진'자 돌림의 아들 여럿이 있었다. 맹진, 중진, 명진…. 이들 중 중진과 명진이 전쟁통에 조선인민군에 입대했다. 한 집안에서 아들 둘이 조선인민군에 나간 것이다. 언제 어떻게 조선인민군에 '나갔'는 지는 편지만 읽어서는 알 길이 없다. 그리고 전쟁 난 지 석 달이 채 안 된 1950년 9월 15일, 북으로 올라간 아들 중진이 돈암동 집의 형 김맹진에게 '형님 보시압'이라고 말문을 열고 편지 한 장을 쓴다. 북에서 남으로 온 편지이다. 서울은 '인공 치하'일 때이다.
형님 보시압
분주하고 시간적 생활이라 또 동무들도 있고 하여 집 생각 그리 간절친 않습니다. 어머니께서도 안녕하시온지? 떠날 적에도 엄마 편찬으신(편찮으신) 것을 보고 온지라 틈틈이 지금은 어떠실까 하는 생각이 들지요. 아들 둘이 한번에 나왔다는 것이 옳은 일이것만(일이겠지만) 서운하실 줄 압니다. 인민이 총궐기한 이때이라는 것을 여쭈어드리고 조국을 위한 의무를 이행할 뿐이라는 것을 알려드리십시오. 이곳은 북반부 안전지대라는 것을 아십시요. 명진이와는 늘 가치(같이) 있다 요지음(요즈음) 갈라섰습니다. 혹시 먼저 편지했을지도 모르지요. 다른 사람보다도 건강하다는 것을 알려둡니다. 안전지대에 몸 건강이 있다는 것만 알아 주십시오. 아주머님들, 매형님, 누님 다 안녕하시며 옥기도 잘 있을 줄 믿으며 총총 이만하고 다음 기회에 쓰겠습니다. 것봉(겉봉)대로 답장할 수 있습니다. 9.15 중진 (보내는 이: 인민군 우편함 4962호 김중진 / 받는 이: 서울시 성북구 돈암동 291의 46 김맹진) |
중진은 편지 겉봉에 자신의 주소를 '인민군 우편함 4962호'라고 적었다. 편지 내용대로라면 이 우편함 번호를 쓰는 인민군 부대는 해군이다. '늘 같이 있다가 얼마 전 갈라'섰다는 명진은, '아들 둘이 한번에 나왔다'고 한 것으로 보아 같이 인민군에 나간 친동생이 아닌가 싶다.
누님에 매형에 가족 안부를 일일이 물었는데 아버지 얘기는 없다. 아버지 모신 자식이라면 안부 묻지 않을 리가 없겠으나 어떤 사정인지는 알 수 없다. '아주머님들'이라 한 것을 봐서는 맹진 말고도 형이 더 있을 수 있고, 그렇다면 이 댁의 형제는 최소 넷이다.
중진은 아들 둘이 인민군에 나간 것에 대해 어머니가 '서운'해 하겠지만, 자신이 택한 길은 '옳은 일'이며 '조국을 위한 의무'라고 강변하고 있다. 가족 간의 사사로운 정을 사회적 판단의 뒷전에 밀어놓았다. 자식 둘을 전쟁통에 내보낸 어머니도 이 젊은이의 판단과 행동에 과연 고개를 끄덕였을까. 어머니는 아들의 이 편지를 받지 못했다.
**
두 번째도 동생이 형한테 쓴 편지이다. 그러나 북에서 남으로 쓴 편지가 아니라, 북에서 더 북쪽으로 갔어야 할 편지이다. 보내는 이는 발신인란에 7사단 3연대 2대대 중기중대 김창열(金昌烈)이라고 적었다. 노획편지 1000여 통 가운데 발신인란에 사단에서부터 중대까지 소속 부대명을 이렇게 자세히 적은 편지는 이것이 유일하다. 받을 이는 동북 길림성 연길 흥지신구(興智新區) 동신부(東新付) 칠여(七閭)의 형 김문관(金文官)이다.
중국 해방군 출신의 조선인민군이 낙동강 전선까지 내려갔다가 평양으로 후퇴해 있던 1950년 10월 15일 고향인 중국 길림성으로 보낸 편지는 '형님 전 상서'로 시작된다.
형님 전 상서
저는 중국 해방군에 있다가 광서성에서 조선 동지들이 모두 집결해 가지고 자기의 조국을 완전 독립시키기 위하여 조선을 향하여 1950년 4월에 조선을 나와서 원산에서 훈련을 하다가 상급 명령에 의하여 6월25일에 38선을 돌파하여 가지고 대구로 부산으로 경주로까지 해방시키고 다시 상급 명령에 의하여 자신은(저는) xxx 평양까지 후퇴하여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은 조국과 인민을 위하여 희생을 두려워하지 않고 끝까지 조국 통일 참가하여 미 제국주의자들을 완전히 속탕(소탕)하려고 합니다. 어머님 형님 아주머님 안심하십시요. 우리는 조국을 위하여서 끝까지 희생 두려워하지 않는 자입니다. 그리고 종선이는 잘 자라는지 머언 먼 데서 알 수 없습니다. 그리고 신동이도 학교로 통학하는지. 우리는 혁명을 하려면 알아야 합니다. 공부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전 집안에서 다 안전한지도 알 수 없습니다. 시간상 간게로(관계로) 평양 우편에서 함. 7사단 3련대 2대대 중기중대 성명 김창열 10월15일 (보내는 이: 7사단 3연대 2대대 중기중대 김창열(金昌烈)/ 받는 이: 동북 길림성 연길 흥지신구(興智新區) 동신부(東新付) 칠여(七閭)의 형 김문관(金文官)) |
광서성은 베트남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 남쪽 끝자락의 성이다. 중국 해방군 소속으로 광서성에 있다가 조선인들끼리 집결해 중국 대륙을 이동, 1950년 4월에 '조선에 나왔다'고 했다. 조선의용군 출신인지, 입북 직후부터 7사단에 편입이 된 것인지 등 자세하고 정확한 내용은 편지만으로는 확인하기 힘들다. 하지만 한 조선족 출신의 젊은 전사가 해방 이전부터 한국전 때까지 움직여온 개인 행로를 이 편지는 단 몇 줄로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소련군 출신이니 만주군 출신이니 일본군 출신이니 하면서 한국전을 지휘했다는 남과 북의 군 지휘관들이 써놓은 전쟁 기록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장면이다.
남과 북 어느 쪽 출신이든 군에 간 젊은이들이 고향 집에 쓰는 편지에서 빼놓지 않는 부탁이 있다. 김창열도 이 편지에서 똑같은 부탁을 잊지 않는다. 친동생이든 사촌 동생이든 손아래 동생들한테는 꼭 '공부'를 시키라는 당부이다.
<미군에 노획된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편지는 1950년 6.25전쟁 당시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 전역에서 미군에 노획된 것입니다. 미국은 이를 비밀문서로 분류해 놓았다가 1977년에 비밀을 해제하고 일반에 공개했는데요, 국내에는 극히 일부만 소개됐습니다. 미국 워싱턴 인터내셔널 센터(KISON) 선임 편집위원인 이흥환 씨는 2008년 11월 이 편지들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NARA)에서 처음 만났다고 합니다. 그는 "(비록 60여 년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수취인이나 발신인을 찾아 전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편지를 선별해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 펴냄)라는 책을 냈습니다. '도서출판 삼인' 블로그에 게시된 616통의 편지 주소를 보고 '나의 부모, 나의 형제'라고 생각되면 전화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도서출판 삼인 02-322-1845 / http://cafe.naver.com/saminbooks/) ☞ 배달 안 된 '노획 편지' 주소 확인하기 http://saminbooks.blog.me/140170605532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