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13일 03시 03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스마트폰이 아이들 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이에게 스크린 리터러시 교육을 ②] 유아에게 스마트폰, TV는 금물
"젖먹이 어린이 3분의 1은 걷거나 말을 배우기 전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손가락으로 두드리기를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일부는 생후 6개월에 스마트폰을 가지고 놀 수 있다. 만 한 살이 되는 어린이 가운데 7분의 1은 하루 한 시간 정도 이런 전자제품을 가지고 시간을 보낸다." 이런 사실을 미국소아과과학자협회(PAS)가 미국 중산층 이하 부모 370명
고승우 언론사회학 박사
스마트폰으로 우는 아이 달래기 괜찮을까?
[아이에게 스크린 리터러시 교육을] 정보화 시대에 방치된 한국 어린이
연재를 시작하며 한국은 인구당 스마트폰 보급률, 인터넷 이용시간, 초고속인터넷 속도 등에서 세계 1위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필요로 하는 정보산업 인프라는 세계 정상급이다. 이런 상황은 산업 발전 가능성에의 긍정적 전망을 가능케 하지만 그로 인한 어두움도 동시에 존재한다. 어린이는 첨단 정보기술의 부작용에 노출된 주요 대상이다. 촛불혁명, 미투 운동 등을
지금, SOFA 개정을 말하는 이유
[기고]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한반도 평화체제
한미 간에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방위비 분담금 협상은 한미 군사 관계의 역사와 현주소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그것은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미국이 지속적으로 한국에 군사적 부담을 더 요구할 수 있는 구조다. 그간 한국은 주한미군에 부지와 시설을 제공하면서 그 주둔비용의 절반 정도를 부담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미국이 한 가지를 더 요구하고 나왔다.
'동성애 치료센터' 공약 내건 후보, 우린 어디에 있나?
[LGBT 차별을 넘어] 성소수자 문제 해결은 우리 인권 의식의 전진
정치권, 성소수자 문제 해결을 위한 법제화에 적극 나서야 성소수자들이 바라는 것은 정당한 권리와 자긍심을 가지고 자신을 당당히 드러낼 수 있는 세상으로 압축된다. 이는 지난 3월 전주에서 열린 퀴어(Queer)문화축제에서도 강조된 바 있다. 지난 4월 열린 LGBT(레즈비언·게이·양성애자·성전환자) 등 성소수자들의 축제인 전주퀴어문화축제에서는 "성 소수자들
동성애 노년층이 증가하고 있다
[LGBT 차별을 넘어] LGBT 노년층을 위한 의료 서비스 필요
30. 미국 LGBT 노년층, 이성애 노년층에 비해 심각한 불평등 상태 미국 대법원이 동성애 결혼 합법화 판결을 내린 2년 뒤인 2017년 미국 최초로 미국 거주 LGBT 노년층의 건강을 조사한 결과 이성애 동년배에 비해 건강과 웰빙에서 불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 성인 가운데 자신을 LGBT로 밝힌 인구는 전체 노인 인구의 2.7%인 270만
동성커플 간 가정폭력이 양성커플보다 높다?
[LGBT 차별을 넘어] 성소수자 차별 스트레스, 동성커플 건강 해친다
29. 동성커플 간 가정 폭력, 양성커플과 엇비슷 - 건강은 덜 좋아 동성커플 간 발생하는 가정 폭력의 정도는 양성커플과 엇비슷하거나 좀 더 많다. 동성커플에 대한 사회의 따가운 시선 때문에 가정 문제를 공개하기 꺼리는 것이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노스웨스턴 메모리얼 병원 부설대학의 리차드 캐롤 조교수 등이 연구해 밝힌 것으로, 더 저널 오브 섹스 앤
여성 성소수자는 2등 시민?
[LGBT 차별을 넘어] 사회적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침묵
28. 여성 성적 소수자가 자신의 성적 정체성에 대해 침묵하는 이유는? 타인과의 관계, 특히 애정 관계는 사회생활에서 가장 중심적인 요인이면서 외부의 지원이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기초적 요소이다. 그러나 성적 소수자와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나 차별적 태도가 강한 환경에서 살 경우 관계 유지하기 위해 침묵하는 경우가 있다. 여성 성적 소수자에게서 종종
양성애자의 커밍아웃은 동성애자보다 힘들다
[LGBT 차별을 넘어] 이해받지 못하는 양성애
27. 양성애자는 동성애자보다 커밍아웃 하기 힘들어 가족은 동성애나 양성애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들의 정체성이 불완전할 때 가족과의 관계는 큰 영향을 미친다. 자녀가 성적 소수자라는 사실에 가족이 수용적이냐, 부정적이냐에서부터 커밍아웃 과정 등에 가족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자녀가 성적 소수자임을 인지한 후 이 사실을 수용하는 부모도
특히 중년 이후, 성적 유동성이 커진다
[LGBT 차별을 넘어] 성적 유동성
26. 이성애 여성 일부가 중년 이후 다른 여성에게 매력을 느낀다? 개인의 성적 지향이 중년을 넘긴 연령대에서 변화한다는 이론이 힘을 얻고 있다. 성적 욕구를 느끼는 대상이 변화한다는 것으로, 개개인의 성적 지향은 평생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성적 유동성(Sexual Fluidity)'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좀 더 자주 관찰된다. 특히 이성애 여성
성 소수자 학생 화장실 배려하면 성적 오른다
[LGBT 차별을 넘어] 화장실을 이용하는 성별은 둘 이상이다
25. 'LGBTQ와 이성애 학생 공동 참여 동아리', '트랜스젠더 학생의 안전한 화장실' 효과는? 교내에 게이와 이성애 학생들이 동일한 동아리에 참석하는 방식으로 동성애 혐오에 명백히 반대하는 조치 등이 취해질 경우, 성적 소수자는 물론 이성애 학생들의 자살 생각이나 시도가 현저히 감소했다. 또한 고교에서 트랜스젠더 학생이 안전하게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