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15일 03시 3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트럼프만 보고 있는 문재인, 이대로 괜찮은가?
[정욱식 칼럼] 문턱 높인 트럼프, 미북 대화 어려워져
진폭이 크다.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의 북미대화를 두고 하는 말이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평창 올림픽 개막식 참석 후 11일 귀국편 비행기 안에서 "최대의 압박과 관여를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탐색적 대화"에 나설 뜻을 피력한 것이다. 그런데 평창 올림픽 폐막식 직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딴 얘기를 했다. 27일에 "북한은 대화를 원하고 있으나 우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2018.02.28 15:57:38
한미군사훈련, 美 군산복합체 '결재'에 달렸다?
[정욱식 칼럼] 4월 예산 심의 앞둔 미국, 대북 위협 커질듯
평창 대회 이후 한미군사훈련이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 사령관은 2월 14일 미국 하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한 청문회 보고서에서 "한미연합군사훈련을 계속할 것"이라며 이는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송영무 국방장관은 패럴림픽이 끝나는 3월 18일 이후 구체적인 일정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고,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한미군사훈련 실시에
2018.02.21 18:29:36
바로 지금, 문재인 외교에 필요한 세 가지 전략
[정욱식 칼럼] 남북 정상회담을 넘어 '북미 정상회담'으로
평창 대회가 가져다 준 '기회의 창'은 올림픽과 패럴림픽이 끝난 이후에도 활짝 열릴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의 상당 부분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남북정상회담과 그 '여건'에 해당되는 북미 대화 성사 및 진전에 달려 있다. 일단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여동생 김여정을 특사로 보내 "빠른 시일 내에 평양에서 뵈었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문재인 대통령에
2018.02.19 16:07:46
트럼프의 '코피 작전'과 전술핵이 만나면?
[정욱식 칼럼] 트럼프의 NPR (하)
이른바 '코피(bloody nose) 작전'이 화제다. 이 작전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고안한 것으로, 북한의 핵시설이나 미사일 발사 시설에 제한적인 공격을 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덩치가 압도적으로 큰 미국이 덩치가 작은 북한의 코피를 터트려도 북한이 대들지 못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담겨 있다. 그런데 싸움판은 북미 양측에 국한되지 않는다.
2018.02.08 18:10:12
트럼프가 핵 전쟁 문턱을 높였다고?
[정욱식 칼럼] 트럼프의 NPR (상)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2월 2일 핵 태세검토(NPR) 보고서를 발표했다. 1994년과 2002년, 그리고 2010년에 이어 네 번째 보고서이다. 그런데 빌 클린턴 및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물론이고, 북한 등 7개국에 대해 핵 선제공격을 채택한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NPR과 비교해 봐도, 미국의 핵 숭배 주의가 더욱 강하게 담겨 있다. 미국의 핵 능력이
2018.02.08 08:55:34
아베는 한반도 위기를 정치 자양분으로 먹고 큰다
[정욱식 칼럼] 제3국 일본이 한미연합훈련을 요구하는 이유는?
평창을 바라보는 동상이몽이 너무나도 크다. 대척점에는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일본의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있다. 문 대통령은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이 가져다 준 '일시 평화'를 '영구 평화'로 가는 초석으로 삼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반면 아베 총리는 이를 견제하기에 바쁘다. 한반도 위기를 자신의 정치적 자양분으로 삼아왔던 만큼, 평창 대회가
2018.02.05 16:39:29
'냉전세력'은 평창을 악용하지 말라!
[정욱식 칼럼] 분단과 개인의 곤경은 분리될 수 없어
남북관계 정상화와 한반도 평화로 가는 길이 얼마나 멀고도 험난한지 여실히 느끼게 되는 시간들이다. 남북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은 남남갈등의 증폭과 맞물리고 말았다. 특히 촛불혁명의 주역이자 문재인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 기반이었던 2030 세대의 민심 이반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궤멸 위기에 처했다는 보수 야당들은 "평양올림픽"이라는 모욕적인 프레임
2018.01.30 18:07:59
"1983년에 머물러 있는 트럼프와 김정은"
[정욱식 칼럼] 하와이의 '공포의 38분'과 우발적 핵 전쟁 (하)
냉전 초기 여러 차례 핵전쟁의 위험을 겪었던 미국과 소련은 1971년 9월 우발적인 핵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그 취지는 이랬다. "가장 정교한 주의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인 결함이나 인간의 실수, 그리고 의도하지 않은 사건이나 비인가자의 행동에 의해 핵 재앙이나 핵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선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그 이후에도 우발
2018.01.22 14:29:49
MB, 원전 수주의 비결은?
[정욱식 칼럼] 국익 위했다고 하지만…실제는 국가적 손실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건설사업 수주에 성공한 2009년 12월 27일, 아부다비로 날아간 이명박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열어 감격스러운 표정으로 이렇게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규모 면에서도 역사적으로 최대이지만 보다 더 의미있는 것은 우리가 이제 원자력 발전시설을 수출하게 됐다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미국과 프랑스, 일본, 러시아와 함께 세계에서 나
2018.01.18 16:46:19
하와이 '공포의 38분'과 우발적 핵전쟁
[정욱식 칼럼] 장비 오작동, 세계를 위기에 빠뜨릴수도 있다 (상)
하와이 시각으로 2018년 1월 13일 오전 8시 7분, 하와이 주민과 관광객들의 휴대폰에 긴급 문자가 전송됐다. "탄도미사일이 하와이를 위협하고 있다. 즉각 대피처를 찾아라. 이건 훈련이 아니다". 이들은 지난해 12월 1일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에 대비해 30여 년 만에 대피 훈련을 받았던 터였다. 하지만 이번에는 "훈련이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받았고,
2018.01.16 17: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