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아내가, 아들이 북에서 보낸 편지 두 통에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아내가, 아들이 북에서 보낸 편지 두 통에는…

[배달 안 된 '노획 편지']<3> '해방구 남반부'의 가족에게 보낸 편지

전쟁이 남기는 건 핏물 밴 총칼만이 아니다. 전쟁은 숱한 사연도 남긴다. 살아남은 자들이 가슴에 묻어놓은 사연도 있지만, 글로 남겨진 사연도 있다. 전쟁이 쓴 편지, 전쟁이 남긴 편지도 그런 기록 가운데 하나이다. 1950년 한국전 당시 미군은 북한 점령지에서 북한의 공문서를 포함해 적지 않은 양의 '북의 기록'을 노획했다. 전리품이었다. 이 노획 문서들은 도쿄의 연합군 극동군사령부를 거쳐 미 워싱턴의 연방기록물 보관소로 이관되었다.

이 노획 문서 중에는 평양중앙우체국에서 노획한 개인 편지 1200여 통도 포함되어 있다. 조선인민군에 입대한 동생이 중국 길림성(지린성) 집의 형에게 쓴 편지, 평남 안주 고향집의 아내가 '해방구'인 서울에 내려가 있는 남편에게 쓴 편지, 인민군 나간 아버지가 평남 용강 고향의 아들에게 '이제는 네가 오마니와 토론해 집안일을 다 해 나아가라'고 부탁한 편지도 있다. 고향을 떠나 자강도 만포의 직장에 가 있는 남편은 황해도 서흥의 고향집 아내에게 쓴 편지에서 '몸 풀 날이 다 되었는데 안녕하신지'를 묻는다. 편지 대부분이 전쟁 직후인 10월에 쓰인 것들이다.

<프레시안>은 10월부터 기획 특집으로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에 보관되어 있는 이 노획 편지 가운데 20여 통을 골라 10회로 나누어 소개하고, 전체 노획 편지 616통의 주소록도 새로 공개한다. 편지가 쓰인지 62년이 지났고, 미 NARA 서고에서 일반에 공개된 지 이미 35년이 흘렀다. 그 모진 세월을 용케 견뎌내고 살아남아 한 번 더 '주인'을 찾아 나선 '잊혔던 편지들'이다.

필자 이흥환은 미 워싱턴의 KISON 편집위원으로, NARA의 노획 편지들을 모아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라는 제목의 책을 엮었고, 책에 소개되지 않았던 편지들을 <프레시안>의 이 특집을 위해 다시 한번 가려 뽑고 주소록을 만들었다. 모두 616통이다.(☞관련 기사 : "미군 노획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

1950년 한국전 때 남은 북을, 북은 남을 석 달도 채 못 되는 짧은 기간 점령한 적이 있다. 전투 병력이 아닌 민간인이 남과 북에서 떼죽음을 당한 때가 이 점령 기간이다. 어느 쪽이 더하고 덜하고를 구분 짓는다는 게 무색할 정도였다. 남은 북쪽 점령지 이북을 수복 지구라 불렀고, 북은 남쪽 점령지 남반부를 해방구라고 했다.

남은 점령지의 행정권을 미군이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복 지구를 통치할 수 없었지만, 북은 해방구에서 행정권을 행사했다. 평양은 해방구의 각급 행정 기관에 관리를 내려보냈고 북의 정책을 집행했다.

남쪽 해방구에 일하러 내려가 있는 아버지와 남편에게 보낸 '북에서 쓴 편지' 두 통을 소개한다. 두 통 모두 사는 동네(리)는 다르지만 평남 안주군 안주면의 같은 면 사람이 쓴 것이다. 편지를 쓴 때도 9월 말로 비슷하다.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뒤바뀌면서 조선인민군이 점령지 해방구를 포기하고 북으로 쫓겨나고 있을 때이다.

첫 번째 편지는 북의 아들 병섭이 해방구의 아버지한테 쓰는 편지다. 아들 병섭은 평남 안주군 안주면 북문리에 산다. 안주 고급중학교에 다니고 있고, 집 주소와 자기 이름쯤은 한자(漢字)로 척 써낼 줄 아는 십 대의 젊은이다. 아버지 백창업은 경기도 인천시 인민위원회 재정과에 내려가 있다. 편지 쓴 날짜는 1950년 9월 24일이다. 인민군이 이미 인천에서 쫓겨난 후이다.

부친님에게

▲ "조국의 정세가 위태로운 이때 원지에서 얼마나 고생하십니까?" ⓒ국립중앙도서관
조국의 정세가 위태로운 이때 원지에서 얼마나 고생하십니까?

나는 어머니 모시고 무사히 지내갑니다. 가정은 극히 빈한하며, 저는 안주 고급중학교에 다니고, 조부모의 집과의 련락은(연락은) 끊어졌으며, 나는 어머니와 함께 부친님 있는 곳으로 가지 않이 하면(않으면) 생활하기가 곤란할 것입니다.

앞으로 겨울이 닥처오고(닥쳐오고) 이에 못지않는 난관이 우리들 속으로 기어들 것입니다. 우리는 부친님이 신체 건강하여 속히 돌아오시기를 무한히 기다립니다. 그리고 가정의 '물건'은 어떻게 하면 좋을는지 속히 회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950년 9월24일 백병섭

(보내는 이: 평남 안주군 안주면 북문리 137번지 백병섭 / 받는 이: 경기도 인천시 인민위원회 재정과 백창업)

편지 왼쪽 여백에 병섭은 한자로 '경기도 인천시 인민위원회'라 쓰고 그 밑에 '남반부 해방지구'라고 써넣었다. 입에 익지 않은 낱말들이었을 테고, 어쩌면 '원지' 해방구에 내려가 있는 아버지를 자랑스러워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젊은이의 펜은 세상사를 논하고 있을 여유가 없다. 어머니 모시고 무사히 지내고는 있으나 '닥쳐오는 겨울'이 우선 걱정스럽다. 집안 형편은 '극히 빈한'하다. 할아버지 할머니와는 연락 두절이다. 아무래도 아버지 있는 해방구로 내려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 그렇지 않고는 살아남기를 장담하기 힘들다.

아버지더러는 탈 없이 건강하시라고 당부한다. 보고 싶다는 말을 '무한히 기다립니다'라는 말로 대신하면서, 집안의 '물건'을 어찌해야 옳겠냐고 묻는다. 깊숙이 간직해둔 귀중품이라도 있는 것일까?

**

두 번째 편지는 평남 안주의 아내 김계월이 해방구 서울에 내려가 있는 남편에게 쓴 것이다. 남편 염기만은 서울 남산에 있는 서울철도관리국 보건부에서 일하고 있다. 이 편지를 쓴 9월 26일은 남의 해병대가 서울을 거의 장악했을 때이다. 남과 북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던, 한국전 전 기간에 걸쳐 가장 긴장된 순간이었다.

하지만 편지지 한 면을 빼곡히 채운 긴 편지 어느 구석에서도 화약내는 나지 않는다. 전쟁의 냄새보다는 사람 냄새가 훨씬 더 짙다. 남편들은 아내한테 이런 편지를 쓰지 못한다. 오직 아내만이 남편에게 쓸 수 있는 편지이다. 남편을 '광히 아버지'라 부르면서 아내의 편지는 시작된다.

광히 아분님 앞

▲ "광히 아분님 앞" ⓒ국립중앙도서관
조국 사업의 분투 로력하시기 얼마나 고생하십니까. 이곳 광희 어머님은 한모양으로 지냄니다. 당신은 조국 사업을 위하여 이곳을 뜨나지만(떠났지만) 나마(남아) 있는 가족은 적적한 x외로가 한두 가지 안니고(아니고) 모든 것시(것이) 답답합니다.

당신이 근무하시든 직장에서 돌바준다꼬(돌봐준다고) 말슴하시지만 거긔시 다(그것이 다) 형식에 지내지 못하고 면하옵꼬(?) 생활 보장할 돈 10000원은 타시든 돈도 다 못타기 대고(못 타게 되고) 기본 월겁(월급) 나오는 대서도 책권을(채권을) 다다리(다달이) 물기 따문의(때문에) 거중에서(그중에서) 돈 3000원씩을 타서 생활 보장할(을) 한니(하니) 답답하든 중 이 달 월겁(월급) 중에서도 엄식대(음식대) 1300원 지하고(제하고) 6300십구원(6319원) 타서 지반용(집안용) 치시고 나니 나매(남의) 돈 차용해신 돈 10000원 한푼도 물지 못해소(못했소).

나은(나는) 어린 아히(아이)들 다리고(데리고) 지내기가 답답해서 당신의 가기댄(가게 된) 이우을(이유를) 아라본 적(알아본 즉) 나매(남의) 일을 끗까지 보다가 당신이 간 거 갔소. 부장 집에 안은(아는) 분들은 한 분도 안이(아니) 가서니(갔으니) 당신은 나매(남의) 일을 동정심이 마나서(많아서) 안 할 고생을 하는 갔소(것 같소). 나마지(나머지) 식구들까지 고생이 말 다 못하겠소.

겍지에서(객지에서) 고생할 줄 아면서(알면서) 안탁각고(안타깝고) 답답해서 지반(집안) 사정을 알림니다. 씨씨때때로 아히들은 아부지만(아버지만) 차고(찾고) 기다리고 바래이(바라니) 실노(실로) 미망(민망)함니다.

광히 아부지 가신 후 소식은 종종 아라슴니다마은(알았습니다마는) 적접(직접) 지브로(집으로) 편지해 주시요. 이곳서도 밤나들(밤낮을) 가리지 안코(않고) 폭격이 심한니(심하니) 아히들을 다리고(데리고) 엇지할(어찌할) 도리가 업고(없고) 한점 잠을 이루지 못하고 근심과 걱정으로 세워를(세월을) 보내고 있소.

할 말은 이만 긋(끝). 광운은 학교 입학하여 열심 공부함니다. 아부[지] 오시면 창성덕기를(?) 바래면서 공부 잘 함니다.

돈 10000원 타는 것 문화부장게(께) 부탁하면서 차자달라한 적(찾아달라고 한 즉) 차자주게다 하든이(찾아주겠다 하더니) 거후(그후) 말하는 것시(것이) 직장에 인는(있는) 사람도 해결할 수 업다(없다) 하면서 업는(없는) 사람을 못타 양을 말하면서 당신내들은 차자시며(찾으면서) 알리주지(알려주지) 안십디다(않습디다). 거후(그후) 25일날 월겁(월급) 차자면서(찾으면서) 잘 알아라본 적(알아본 즉) 국장들은 다 차 다서이(찾았으니) 게급이(계급이) 달라 못 타는지, 거게서(그곳에서) 차다서서(찾아 써서) 못 타는지 똑똑키(똑똑히) 편지할 대(때) 말슴해 주세요.

다시 알일(알릴) 말삼은(말씀은) 지금어로부터(지금으로부터) 월겁도(월급도) 안 주기되고(주게 되고) 유가조으로(유가족으로) 하여서 식구 수하여(수대로) 주기 된다 함니다. 돈 10000원 타는 것슨(것은) 명부에 이름을 지우고 업다(없다) 합디다. 이분에(이번에) 이와갓치(이와 같이) 된 사실은 당신 자치로 잘못하여 고생하고 지바(집안) 식구들은 이와갓튼(이와 같은) 고생 식키어(시키어) 원통하고 분하오.

(보내는 이: 평남 안주군 안주면 율산리 170 김게월 / 받는 이: 서울시 남산 남찬동 202 서울철도관리국 보건부 염기만(광히 아버지))

분하고, 원통하고, 안타깝고, 답답해서 쓴 편지다. 아내가.

남 동정하느라 남편은 지금 자청해서 남반부에 내려가 안 해도 될 생고생을 사서 하고 있다. 그나마도 남편 입을 통해 안 것이 아니라 적게 나오는 월급에 하도 답답해 아내가 직접 여기저기 물어 알아낸 사실이다. 안타깝고 답답할 뿐이다.

남편은 서울에 파견된 후로 아예 '없는 사람'이 돼버렸다. 여기 남아 '있는 사람'들은 월급 또박또박 잘 챙기고 있다. 남편의 직장 동료들이 원망스럽다. 분하고 원통하다.

광희 아버지의 객지 생활? 고생스러우리라는 것 다 안다. 하지만 당신도 알 건 알아야 한다. 남아 있는 집안 식구들도 말 못할 고생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봤더니 다 당신이 자초한 일이더라.

아내가 여간내기가 아니다. 혹시 서울에서 월급을 다 찾아 쓰기 때문에 안주 집에서 월급을 못 타는 게 아니냐고 다그치기까지 한다. 답장 쓸 때 자초지종을 '똑똑하게' 밝히란다. '할 말 이만 끝' 해놓고서도 답답증이 안 가시고 분이 안 풀렸는지 다시 시작한 편지 후반부에서 아퀴지어(순우리말로 '일의 끝을 마물리며'라는 뜻입니다. 편집자) 한 말이다.

광희 아버지는 이 편지를 받지 못했다. 서울 파견 근무를 끝내고 안주 율산리 집에 무사히 돌아왔다면 이래저래 광희 아버지는 아내한테 설명 아닌 해명해야 할 것이 많은 사람이다.

<미군에 노획된 인민군 편지, 62년만에 주인을 찾습니다>

{#8964360435#}
▲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이흥환 엮음, 도서출판 삼인 펴냄) ⓒ삼인

한국전쟁 때 미군에 노획된 편지의 주인을 찾습니다.

편지는 1950년 6.25전쟁 당시 평양을 비롯한 북한 지역 전역에서 미군에 노획된 것입니다. 미국은 이를 비밀문서로 분류해 놓았다가 1977년에 비밀을 해제하고 일반에 공개했는데요, 국내에는 극히 일부만 소개됐습니다.

미국 워싱턴 인터내셔널 센터(KISON) 선임 편집위원인 이흥환 씨는 2008년 11월 이 편지들을 미국 국립문서보관소(NARA)에서 처음 만났다고 합니다. 그는 "(비록 60여 년이 지났지만) 이제라도 수취인이나 발신인을 찾아 전달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편지를 선별해 지난 4월 <조선인민군 우편함 4640호>(도서출판 삼인 펴냄)라는 책을 냈습니다.

'도서출판 삼인' 블로그에 게시된 616통의 편지 주소를 보고 '나의 부모, 나의 형제'라고 생각되면 전화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도서출판 삼인 02-322-1845 / http://cafe.naver.com/saminbooks/)

☞ 배달 안 된 '노획 편지' 주소 확인하기
http://saminbooks.blog.me/140170605532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