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5월 09일 22시 5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오바마가 던진 돌, 부화뇌동하면 부메랑 맞는다
[정욱식 칼럼] 남북관계, 과연 달라질까? (하)
미국이 돌을 던졌다. 살얼음판을 걷듯 대화를 모색하는 남북관계에 말이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2일(현지시각) 대북 제재를 확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공교롭게도 미국의 추가적인 대북 제재는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포함한 남북대화에 적극적인 의지를 밝히고 박근혜 정부가 호의적인 반응을 내놓은 직후에 나왔다.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 프레시안 편집위원
2015.01.05 17:32:04
김정은發 남북정상회담 기대, 군사훈련 파고 넘을까?
[정욱식 칼럼] 남북관계, 과연 달라질까? (상)
'올해는 남북관계가 달라질까?'2008년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남북관계가 지속적으로 악화되면서 매년 연초에 던져보곤 하는 질문이다. 항상 그렇듯이 2015년 남북관계를 예측하는 것도 '장님 코끼리 만지기' 수준을 벗어나기 힘들다. 어떤 면을 보면 좋아질 것 같기도 하고, 어떤 면을 보면 기대하기 힘들어진다. 예측하지 못한 변수까지 고려한다면, 남북관계를
2015.01.02 13:49:14
소니 해킹의 목적은 '돈'이었다
[정욱식 칼럼] '북한 소행설'이 섣부른 까닭
"우리는 소니 영화사로부터 큰 손해를 입었다. 우리는 이것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을 원한다. 우리의 피해를 배상하라. 그렇지 않으면 소니 영화사는 전면적인 공격을 받을 것이다. 당신들은 우리를 잘 알고 있다. 우리는 결코 오래 기다리지 않을 것이다. 현명하게 행동하는 게 좋을 것이다."‘God'sApstls’라는 명의로 11월 21일 소니 영화사 최고경영자
2014.12.24 11:36:33
<더 인터뷰> 뺨치는 미국과 북한의 사이버전쟁
[정욱식 칼럼] 오바마는 왜 북한 소행을 서둘러 단정했을까?
영화보다 더 극적이다. 북한과 미국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사이버전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극적인 요소는 두루 갖췄다. 우선 두 주인공에 해당되는 북한과 미국은 60년 넘게 정전 상태를 유지해오고 있을 정도로 지구촌 최악의 적대 관계에 있다. 정체불명의 '평화의 수호자들'(Guardians of Peace)과 할리우드의 대표적인 영화사인 '소니픽처스 엔터테인먼
2014.12.23 16:17:16
'고3 일베'의 테러, 신은미·황선이 끝 아니다
[정욱식 칼럼] 사상의 자유를 묵살한 '종북몰이'의 섬뜩한 귀결
'북한에 대한 신은미와 황선의 얘기는 북한을 싫어하는 내 생각과 많이 다르다. 그래서 이 사람들은 종북이다. 종북은 척결 대상이다.'어처구니없는 삼단 논법이 무서운 테러를 가져왔다. 10일 저녁 익산시에 열린 재미동포 신은미 씨와 황선 전 민주노동당 부대변인의 토크콘서트에서 벌어진 사태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 사건 자체도 충격적이지만, 범인이 고교 3학년
2014.12.11 14:52:24
김정은-푸틴 정말 만나나
[정욱식 칼럼] 북러관계 신밀월시대(하)
최룡해 북한 노동당 비서의 러시아 방문을 계기로 북한과 러시아의 관계가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북·러 관계가 품고 있는 변수들은 다양하고도 주목할 만하다.우선 필자가 앞선 글(☞기사 보기 : 김정일의 마지막과 김정은의 시작, 러시아)에서 주장한 것처럼, 김정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높아졌다
2014.11.26 15:06:02
북한인권법, 북한을 진짜 악마로 만드는 지름길
[정욱식 칼럼] 실패한 대북정책, 언제까지 되풀이할텐가?
11월 18일 유엔 총회 제3위원회가 북한 인권 결의안을 통과시킨 이후, 그 불똥이 남북관계에도 튀고 있다. 남북한의 비방전이 위험 수위를 넘나들고 있고, 국회에서는 북한인권법 제정을 둘러싼 갈등도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다가 이명박 정부의 '잃어버린 5년'이 하염없이 연장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마저 들게 한다.박근혜 대통령은 21일 "북한이 핵무기를
2014.11.24 14:40:53
북한 인권결의안 통과, 핵실험으로 가나?
[정욱식 칼럼] 남남갈등-남북갈등-국제갈등을 씻는 길은?
유엔 총회 제3위원회가 18일(현지시각) 북한 인권 결의안을 압도적인 표차로 통과시켰다. 핵심적인 내용은 북한 내 인권 침해를 '인도주의에 반하는 범죄'로 규정하고, 이에 책임 있는 사람들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도록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결의안이 통과되면서 한반도 특유의 갈등 양상이 증폭되고 있다. 남남갈등-남북갈등-국제갈등
2014.11.21 11:49:00
김정일의 마지막과 김정은의 시작, 러시아
[정욱식 칼럼] 북한-러시아 '신밀월시대'(상)
'과부 마음은 홀아비가 안다'고 했던가? 최근 들어 밀착되고 있는 북한과 러시아 관계를 두고 하는 말이다. 북한은 1990년 이후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결정적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91년 한국-소련 수교였다. 러시아 역시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를 거치면서 유럽에서 떠밀려나고 있다. 그러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동쪽을 보자'(Lo
2014.11.17 15:56:36
북핵과 MD의 동반성장, 냉전보다 나쁘다
[정욱식 칼럼] 미국의 북핵 대응, 그 후과는?
오늘날 핵무기 개발을 놓고 미국 등 관련국들과 옥신각신하고 있는 나라는 북한과 이란이다. 북한은 공공연히 핵보유국임을 주장하고 있고, 기술적으로도 세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핵무기를 보유한 상황이다. 반면 이란은 자신의 핵 프로그램은 철저하게 전력 생산과 의료 목적이라고 주장하지만, 국제사회의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주목할 점은 북한과 이란 핵문제
2014.11.13 15:30:02